경제를 읽는 기술 - 투자의 맥을 짚어주는 경제흐름 읽는 법
조지프 엘리스 지음, 이진원 옮김, 김경신 감수 / 리더스북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이책의 원래 제목은 '커브를 앞서간다' 즉 경기순환을 앞서 읽는다는 의미이다. 경기예측은 경영자와 투자자에게 중요하다.

자사의 상품수요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투자를 수요에 맞춰 선제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올바른 예측으로 절약할 수 있는 비용은 막대하다.

주가가 언제 고점을 찍는지 예측할 수 있다면 고점을 찍고 내리막을 타기 전에 주식을 처분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손해를 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지금까지 예측이란 것의 실적이 신통치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를 아는 것은 인간이 일이 아니라 신의 일이라는 투자격언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책은 바로 그 신의 일을 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내용

보통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것은 경기침체이다. 지금과 같은 침체가 없다면 투자가 실패하지도 않고 일자리가 사라지지도 않을 것이니 얼마나 좋겠는가. 그러나 자본주의는 반드시 경기순환을 반복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저자는 투자와 경영에서 눈여겨 봐야 할 것은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순환이 언제 고점을 찍고 내려가는가를 예측하는 것이라 말한다.

경기순환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고점이 찍힌 후에 모두 발생하고 바닥을 찍을 때는 이미 일어날 피해는 다 일어난 후라 저자는 말한다. 실제 주가흐름이나 수요감소로 인한 매출감소는 고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해 저점에서 끝이 난다.

경기순환이 저점을 찍었을 때는 다시 상승기를 타는 것만 남았기 때문에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것은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고 경기침체는 오히려 환영할 일이라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경기순환의 고점을 어떻게 잡아낼 것인가가 경영자와 투자자가 촛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라 말한다. 그리고 고점을 예측하려면 소비지출의 주기를 보면 된다고 말한다. 소비지출이 늘면 산업생산이 늘고 산업생산이 늘면 자본지출과 고용이 는다. 소비지출이 줄면 나머지는 줄어든다.

저자는 경기순환은 소비지출과 동행하며 나머지 지표는 소비지출의 종속변수 즉 후행지표라 말한다. 예측에서 주목할 것은 선행지표이다.

소비지출을 결정하는 선행지표는 실질소득이라 저자는 말한다. 실질소득이 늘면 지출은 늘게 마련이다. 실질소득의 주기를 보면 소비지출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예측할 수 있고 경기순환을 예측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경기순환의 주기를 발생시키는 동인을 인플레로 본다. 물가가 낮으면 실질소득이 증가하고 소비가 는다. 소비가 늘면 물가가 올라 실질소득이 줄고 이에 따라 소비가 줄어든다. 이 사이클이 경기순환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평가

저자의 논리는 복잡하지 않다. 극히 간결하면서 명료하며 그가 제시하는 증거 역시 강력해 반박이 힘들다. 그리고 저자가 제안하는 것과 같은 예측을 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단지 그런 데이터를 어디서 구하는가만 알면 그리고 엑셀을 돌릴 줄만 앏면 모든 것이 끝이다.

그러나 한가지 문제는 저자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가 미국 위주라는 것이다. 부록에서 저자는 수출비중이 높은 독일이나 일본의 경우 자신이 제시한 지표간의 선행 후행 관계가 미국만큼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수출 비중이 일본이나 독일보다 높은 한국의 경우 자자의 논리가 어떻게 적용될지는 한번 자료를 모아 분석을 해봐야 할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