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짐 콜린스 지음, 이무열 옮김 / 김영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저자는 이책을 저자의 이전 저서인 '성공한 기업의 8가지 습관'의 전편이라 말한다. 어느날 컨퍼런스에서 저자에게 매킨지 컨설턴트가 한말이 이책의 시작이었다. '좋은 말이죠. 그러나 대다수의 기업에게 당신이 쓴 책의 내용은 그림의 떡입니다.' 그의 이전 저서는 이미 위대한 기업이 된 회사들에 관한 것이었고 보통 기업에게 그런 기업이 될 방법이 보이지 않았다. 그런 습관을 가진다고 위대하게 되는가?란 회의가 드는 것이다.

내용

저자는 포춘 500대 기업에서 주식시장의 평균수익정도이거나 그 이하이던 기업이 15년간 시장평균의 3배가 된 기업을 찾아 그냥 괜찮은 기업 즉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이 된 11개 회사를 선정해 그 회사들의 공통점을 추적했다. 놀랍게도 11개 회사들은 거의 동일한 패턴을 보였다. 이책은 그 패턴을 설명하면서 어떻게 평범한 회사가 위대한 기업으로 변신할 수 있는가를 말하는 책이다.

우선 패턴의 시작은 리더에 있었다. 11개 회사가 변화하기 시작한 계기는 공통된 성격의 리더가 등장했을 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리더의 특징은 공자가 논어에서 말한 '군자'와 동일하다. 그들은 겸손했다. 잘되면 남탓 또는 운이고 못되면 자신이 잘못했기 때문이며 말이 어눌하고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다. 그리고 남을 배려할 줄 알며 감사할 줄 알고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지 않고 남의 의견을 존중해 진심으로 경청한다. 항상 묻는다 진심으로 알고 싶어 묻는다. 물론 겸손한 것은 사회적 매너이지만 그들은 진심으로 겸손하다. 그리고 단순히 사람이 좋은 것이 아니라 그들은 자신의 일과 회사를 사랑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기에 최고가 되고 싶어하고 회사를 최고로 키우고 싶어한다. 논어에서 말하는 군자이다.

그런 리더는 사람들을 끌어안는 덕이 있기에 재능있는 사람들을 끌어와 적합한 자리에 앉힌다. 사람을 찾아 내는 것이 어렵지 그 다음은 쉽다. 예로부터 일을 맡겼으면 믿으라 했다. 믿을 사람에게 일을 맡겼으니 조직은 제대로 굴러가게 마련이다. 그들을 감시하고 채찍질할 숨막히는 관료제는 필요하지 않다.

여기까지는 HP의 창업과정과 동일하다. 휴렛과 패커드가 HP를 시작한 것은 단지 두 친구가 같이 일할 공간으로서 회사를 원한 것이었다. 그 회사가 무엇을 만들건 상관이 없었다. 그리고 회사가 만들어진 후 그들은 자신들이 보기에 인재라 생각하면 채용부터 하고 봤다. 그리고 그들에게 맞는 일을 그 다음 생각해내 믿고 맡겼다.

회사에 사람이 모였으면 그다음은 일이다. 잘될 것이란 낙관주의는 성공의 필수이다. 그러나 성공을 위한 낙관주의는 현실적이어야 한다. 냉혹하게 현실을 인식하고 성공할 수 잇는 공식을 찾는다. 그 공식의 패턴은 11개 회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먼저 회사가 세계최고로 잘 할 수 잇는 일이어야 한다. 그일은 지금 회사가 하고 잇는 일일수도 아닐 수도 있다. 그것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일은 회사의 사람들이 애정을 가지고 할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잘할 수 있으면서 열정을 바칠 수 잇는 일이어얗 나다. 그리고 그일로 어떻게 수익률을 올릴 것인가하는 수익률모델을 마련한다.

일이 찾아졌고 비즈니스 모델이 마련되었으면 그 다음은 그일을 하면서 성과를 축적하는 일이다. 계속하다보면 어느날 회사는 위대해져 있을 것이다.

평가

이상이 이책의 내용이다. 요약상으로는 상당히 도식적으로 들리겠지만 책의 내용은 그들이 성공으로 가기까지 마음졸이며 노력한 땀이 느껴지게 상당히 구체적이다. 이책을 경영학 3대서적으로 꼽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읽으면서 당연한 말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책읽는 재미도 주니 여러모로 훌륭하게 쓰인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