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돈이 모이지 않는 이유 - 이제는 중소기업이다 1
오카모토 시로 지음, 지승권 옮김, 이형래 감수 / 이덴슬리벨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이책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체를 운영하는 사장님들을 위한 책이다. 경영서적은 넘치고 있지만 대부분 대기업을 위해 개발된 이론들이 대부분이다보니 작은 소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선 그림의 떡이거나 남의 이야기인 경우가 허다하다. 이책은 그런 현실의 괴리를 메우기 위해 나온 책이다.

중소기업을 위해 오랫동안 컨설팅을 해온 저자는 이책에서 작은 기업에 맞는 여러가지 조언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조언들이 잘쓰인 경영서적들처럼 수많은 재미있는 사례들로 장식되어 이해가 쉽게 되는 것도 아니고 책이 수미일관하게 논리가 갖추어져서 읽고 나서 멋진 이미지가 머리 속에서 그려지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저자가 하는 조언들은 대부분 유용하다. 특히 저자가 세무사인 관계로 재무관련 조언들은 특히 유용하다. 가령 수익의 개념은 다들 알지만 수익률을 목표로 회사를 운영해야 한다는 것은 어처구니없게도 많은 사장들이 모른다고 개탄한다. 자기자본이 100이 투입되고 차입금이 1000이 투입되어 이익이 200이 나왔다면 수익인 200만 생각하지 수익률이 얼마인지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경영의 목표도 별 생각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 말한다. 저자는 자본주의에서 기업을 하는 것은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여야 한다고 말한다. 당연하다. 그러나 그 기준 지표가 되는 것은 중소기업에선 대기업과 달라야 한다고 말한다.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규모가 작을 수록 수익률은 높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보통 ROA 즉 자산대비 수익률이 7%이면 괜찮은 수준이라지만 저자는 중소기업에선 20%가 적정수준이라 말한다. 이외에도 종업원1인당 부가가치는 2천만원은 넘어야 한다든가 1인당 경상이익의 의미가 무엇인가등 한다든가 몇가지 목표로 삼아야 할 재무지표를 말한다.

세무사답게 이런 지표를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장부는 세무서용으로 작성된 것과 달리 작성한 것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세법에 맞추기 위해 만들어진 장부로는 실제 이익이 얼마인지 계산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외에도 사업에선 하이 리스크는 로우 리턴일 뿐이며 하이 리턴은 로우 리스크에서만 만들어진다고 강조한다든가 절세용으로 부풀려진 사장 자신의 급여는 실제 회사돈이지 자기돈으로 착각하지 말라는 등 당연하지만 현장에선 무시되는 많은 것들에 대한 조언들이 말해진다.

전체적으로 이책의 내용은 산만하다. 그리고 경영 베스트셀러들 처럼 화려한 사례들로 장식되고 화려한 논리로 장식된 책이 아니다. 그러나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을 하는 입장에 적합한 책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용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