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침이 두려웠다 - 한국현대사와 함께한 방우영의 신문 만들기 55년
방우영 지음 / 김영사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이책을 구입한 것은 한 시장을 제패한 회사의 경영자에 관해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시장에서 1등은 우연히 또는 운이 좋아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 비결은 책의 초반에 나오고 있다. 빚더미에 앉아 있는 다 망해가는 회사 무사안일에 빠져있는 직원들 매출은 4등. 저자가 경영을 맡았을 때 조선일보의 모습이었다. 그는 엉망인 회사를 개혁했다. 그리고 신문도 기업이기에 독자가 원하는 것을 주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화려한 편집 참신한 기획 특종을 선물해야 했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선 일류의 사람을 모라 일류로 대접해야 했다. 그리고 70년대 경제성장기 중산층이 확대되면서 독자층이 늘었고 넓어지는 시장에서 질을 우선한 경쟁에서 조선일보가 이겼다. 신문하나만 내세워 살아남았고 시장을 장악한 것이다.

이상이 원하던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정도는 100여페이지에 담긴 내용일 뿐이다. 나머지는 조선일보라는 세계안에서만 살아온 저자가 조선일보의 안팍에서 살아오면서 겪은 수많은 사건과 사람들에 대한 회고 그리고 책의 뒤에는 어린시절 정도, 경영자로서가 아닌 개인으로 있을 때의 사생활등이 기록되어 있다.

상당히 산만하지만 읽을 만은 하다. 그러나 문제는 솔직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권력이다. 청와대도 이기는 권력이다. 그리고 저자는 그 권력의 정상에서 내려와 솔직하고 담담하게 과거를 회고할 입장이 아니다. 그렇기에 많은 부분에서 특히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선 자기정당화 또는 축소와 침묵의 흔적이 노골적이다.

해방이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이란 사회를 본다는 의도라면 이책은 읽을 만할 것이다. 분량과는 달리 읽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정직한 역사를 바란다면 읽을 만한 책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