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 3,300원의 신화 - 온라인으로 오프라인을 경영한다
우병현 지음 / 이지앤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3300원짜리 화장품이란 한가지 주제로 한 산업을 개편하는데 성공한 미샤의 성공은 돈키호테의 성공이다.

 

미샤의 창업자 서사장은 원래 잘 나가는 화장품 회사에서 별 문제없이 잘 다니던 연구원이었다. 그러다 어느날 이렇게 살게 아니라 내 사업을 가져보자는 '엉뚱한' 생각으로 화장품 소매점을 시작한다. 화장품 소매점을 하면서 유통구조의 불합리한 점을 알게 된다. 화장품이 이렇게 비쌀 이유가 없잖아? 연구원이었기 때문에 누구보다 화장품의 원가구조에 대해 잘 알고 있던 그는 싸고 질좋은 화장품을 만들자는 업계의 상식에서 보자면 '발칙한' 발상으로 자신의 브랜드를 만든다. 만원대였다. 잘되는듯 했다. 그러나 장사는 잘되는데 적자가 나는 것이다. 소위 흑자도산을 하게 생긴 것이다. 어음, 외상 등 현금이 돌지 않는 유통구조에서 떼먹히는 경우까지 생기고 현금이 돌지 않으니 죽을 맛인 것이다.

 

거기다 외환위기까지 겹친 상황에서 남들은 다들 발을 인터넷이 안된다며 발을 뺄 때 돈키호테식의 무대포로 인터넷 서버를 만든다. 인터넷으로 어떻게 해볼까 하는 탐색적 의미였고 구체적인 계획도 없었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피드백이나 얻으면 다행이겠다는 정도 이상이 아니었다 여기서 대박이 터졌다. PC 통신이 무너지면서 갈 곳이 없었던 메이크업 커뮤니티를 대신하는 포털로 성장할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은 명품이 아니라 합리적 가격의 질좋은 물건이라는 것을 알게되었고 소비자들에게 바로 바로 제품에 대한 의견을 얻으면서 제품을 다듬어나갈 수 있었다. 포털에서 경품으로 주던 제품을 구입하길 원하는 회원들이 늘면서 쇼핑몰을 차리게 되었다. 일정 수준의 매출이 자동으로 해결되게 되었다.

 

온라인 시장의 성장이 멈춘 후 온라인에서 쌓은 경쟁력을 그대로 오프라인으로 가져와 미샤란 대박을 터트린 것이다.

 

이상이 이책의 내용이다. 이책은 하나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어떻게 우연하게 발견되고 발전되는가를 잘 보여주는 케이스를 간결하면서도 재미있게 서술하고 있다.

 

책 말미에 서사장의 개인적인 면모에 할당한 챕터가 있지만 이책이 기본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경영학에서 다루는 케이스 스터디류의 서술방식이다. 간결하게 시장을 묘사하고 그 시장에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가란 뼈대에 충실하게 서술되어 잇다. 경영에 관심이 없는 독자에게 재미가 잇을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배우는 것도 많으면서 읽는 재미도 주는 잘 쓴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