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직포레잇모닝 Music For Late Morning - 플레이리스트 가이드북
박정용 지음 / 노웨이브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악, 좋다. 책 편집, 이쁘다. 글, 군더더기 감정은 빼고 팩트로만 단정하다. 테마별로 묶은 플레이리스트를 큐알코드로 심었다. 여기서 더 바란다면, 그게 욕심이지 싶다. 저자의 프로필도 신뢰가 간다. 전작까지 장바구니에 담은 걸 보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이 좋아지면, 밤이 깊어지면 - 안희연 산문
안희연 지음 / 난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맥빠지는 이유는 순전히 작가의 전작 탓이다. <단어의집>이 너무 좋았기 때문에. 그 때문에 시집도 사고, 이책도 출간 즉시 구입해 읽었다. 읽다 말고 동명이인이지 싶어 저자 프로필을 재차 확인. <단어의 집>에 스민 그만의 특유함이 이토록이나 평이함으로 중화된 이유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3-04-14 20: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시인이 쓴 건 시만 읽습니다. 웃긴 건 시인이 에세이를 써야 돈을 좀 만진다는 거.... 아니겠습니까.

젤소민아 2023-04-18 00:57   좋아요 0 | URL
시인도 산문집이나 에세이를 얼마든지 쓸 수는 있겠지요. 그런데 ‘산문‘으로 하기엔 벅차거나, 답답하거나, 부족하거나, 맘에 안 들거나,,,뭐가 됐든 이유가 있으니 ‘시‘를 쓰기로 선택한 걸 테지요. 그렇다면 시인은 아마 ‘시‘를 통해서 가장 이야기를 잘 전한다...가 될 테니까요. 시인이 산문으로 더 그게 가능해진다면 수필가나 에세이작가나 소설가가 되었겠지요? ㅎㅎ 독자로서는 본업이 시인인 이는 ‘시‘로 더 기대게 되는 것 도한 사실이고요.

산문은 제 보기에 ‘열거형‘과 ‘직조형‘이라 할까..
글을 푸는 스타일을 나누어 본다면 말이죠.

제가 붙인 허접한 이름입니다만..

열거형=여럿의 모티브나 소재나 아이템을 개별화해서 그에 관한 생각이나 팩트를 나열하며 푸는 방식(저마다의 소제목이 곧 모티브인)

직조형=대개 한두개의 큰 모티브 아래 맥을 같이 하는 하위 모티브를 순차적으로 풀어가며 의미를 부여하고 만들어가며 푸는 방식

이 두 방식은 마치 시와 산문처럼 달라서 말이죠...
열거형을 잘하는데 직조형은 아쉬운 경우가 있고,,,vice versa.
굳이 비교하자면 우리가 아는 명저 산문집(에세이, 수상록, memoire 등)은 직조형인 경우가 많지만
좋은 열거형 방식으로 푼 에세이 중에 탁월한 작품도 있곤 하지요.

안희연 시인의 전작 산문집인 ‘단어의 집‘이 그랬습니다. 제게는요.
열거형으로 풀었는데도 각각의 모티브들이 관통하는 무언가가 ‘직조되는‘ 식이었거든요.

시인이 쓴 건 시만 읽는다는 말씀...

저는 시인의 산문집도 읽는 편이지만, 몹시 의미있는 말씀이고 공감합니다.

 
한자의 풍경 - 문자의 탄생과 변주에 담긴 예술과 상상력
이승훈 지음 / 사계절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가 평생 공부해서 얻은 지식을 책으로 나눠받을 수 있다는 것만큼,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과분한 호사가 또 있을지. 침대 머리에 등을 기대고 콘칩을 으적이는 태도로는 읽을 수 없는 책. 그렇게 읽어서는 안되는 책. 이런 책을 써주는 저자에게, 출판사에게 인사부터 하고 읽고 싶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횔덜린 시 깊이 읽기
장영태 지음 / 책세상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착(穿鑿)하다. 이 말을 좋아한다. 구멍을 뚫는다,는 뜻이다. 어떤 하나를 집요하게 파고들기. 구멍이 생길 때까지. 훨덜린의 시는 어렵다. 그래서 읽는 데 도움이 필요하다. 저자(장영태)의 저작들은 훨덜린 시만 바라본다. 穿鑿하는 이의 책은 책 이상이다. 도움을 청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의 마음 사전 - 가장 향기로운 속삭임의 세계
오데사 비게이 지음, 김아림 옮김 / 윌북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 이거 뭔가. ‘미리보기‘ 첫페이지만으로 구매 클릭. 봄맞이 대청소나 해야겠다고 마음 먹고 있던 마음에 꽃을 지피다니. 하긴, 청소하는 마음이나 꽃보는 마음이나 마음달래려는 마음은 마찬가지. 꽃에 관한 지식만이 아니라 꽃에 관한 보기드문 명구까지. 봄이다. 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