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지금까지 만들어 낸 문명은 어뜻 보면 실용적인 지적 욕구, 즉 경제적인 합리성을 가진 지적 욕구의 소산인 것 처럼 보이지만 실은 표면적인 측면일 뿐, 우리 인류를 보다 깊은 고에서 움직여 온 것은 보다 원초적인 순수한 지적 욕구, 즉 어찌 되었든 알고 싶고 조금 더 알고 싶다는 근원적 욕구 였다고 생각합니다. 


오토마톤 화 된 자신에게 만족하지 않고 지적 욕구를 항상 새로운 것을 향해 돌리는 인간이야 말로 지속적인 내면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독서론을 전개할 때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읽는가 하는 문제와 따로 떼어놓고 생각한다면 무의미한 일이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보다 '유시민'이라는 이름으로 검색되는 책이 많다. 같은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의 책을 읽는 다는 것은 다르거나 혹은 비슷한 (같을 수는 없겠지만) 고민을 앞서서 한 사람의 이야기를 읽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나의 관심사에서 시작한다는 것, 올 한 해동안 책을 고르는 기준으로 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황을 이기는 월급의 경제학 - 평범한 직장인의 '최경자' 도전 프로젝트
양재우 지음 / 초록물고기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재테크의 넘버원은 절약이다. 

작년 말 (하루 지났을 뿐인데 작년이라니), 12월에 쓴 카드값을 보니 12개월 중 최고를 기록했다. 
아직은 지출이 수입을 넘어서는 상황은 아니지만, 뻔한 월급쟁이의 지갑에서 앞으로 돈이 들어갈 구멍이 더 많아질 것은 뻔한 일이다. 
이 책을 통해서 배운게 있다면 
첫째, 넘버 원 재테크는 절약 이라는 사실.
1+1을 사서 할인을 받는 것 보다 필요한 물건 하나만 사는 것, 1만원 이상을 구매하면 사은품을 받는 것 보다, 필요한 물건만 구입하는 지혜. 가계부를 통해서 내가 어디에 돈을 많이 쓰고 있는지, 꼭 필요한 부분인지, 대체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 만으로도 저자가 말하는 절약을 실천할 수 있을 것 같다. 

둘째, 절약해서 모은 돈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 것, 투자와 투기의 차이는 알면서 하는 것인가, 남들이 하니까.. 하는 것인가의 차이가 아닐까? 목표 수익율을 정하고 (저자는 7%를 제시했다가, 출간 시의 상황을 고려해 5%가 현실적이라고 한다) 거기에 맞는 투자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단기간의 수익률에 연연하기에는 원금의 크기가 너무 적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절약을 통해 돈을 모으는 것과 적립식으로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 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경제에 대한 공부도 틈틈히 해야하고, 목표를 확실히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세째, 결국 모든 것은 은퇴 이후 최소한의 경제적을 자유를 누리기 위함이 목적임을 잊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안전장치를 여러가지로 마련하는 것이다. 꾸준한 투자를 통해 목돈을 마련하는 것,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을 통해 최소한의 수입을 마련하는 것, 약간의 부족함을 보충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 (혹은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올해는 내년 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는 것은 이미 예상 경제성장률을 통해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도 지금 하고 있는 일을 계속 해 나갈 수 있도록 자신을 단련하는 일을 잊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욕심내지 말고 공부하면서 투자하는 것 또한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의 글은 이런 저런 경로를 통해서 꾸준히 접하고 있고, '에코라이후'라는 카페를 통해서 경제공부를 위해 추천하는 도서목록을 살펴보고 읽기 시작했다. 올 한해는 정말 '최소한의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한 해로 만들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라클 모닝 미라클 모닝
할 엘로드 지음, 김현수 옮김 / 한빛비즈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면 된다. 친절하게 방법까지 알려주는 책. 교통사고로 인해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다시 살아났지만 후유증으로 고생하다가 하면 된다는 정신으로 아침 시간을 투자. 지금은 해당 분야와 마케팅에서 성공한 사람입니다.

대부분의 자기계발서가 그렇듯이 자신이 성공하게된 패턴을 정리하여 성공 방정식을 제안합니다. 바쁜 사람을 위해 짧게나마 실천할 수 있는 대안도 제시합니다.

무엇보다도 아침 시간을 활용한다는 아이디어와 습관을 들이기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에는 충분히 동감할 수 있습니다. 이런 류의 책에서는 한 가지만 얻어도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자의 방법을 이리저리 실행해보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비슷비슷한 내용의 책도 많지만 차별점이라면 뜬구름 잡는 이야기보다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놓고 직진하는 스타일도 좋은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실의 시대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에 대한 최고의 질문들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마이크임팩트 / 마이크임팩트북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이크임팩트에서 주관한 '그랜드 마스터 클래스' 2016년 강의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강연 내용을 수록한 책이라서 강연을 듣는 듯한 느낌도 받았고, 강연별로 수록된 질의 응답 내용이 책 내용을 좀 더 풍성하게 해주는 느낌.


30여년을 쉼 없이 성장해오면서 선진국 문턱에 다다른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성장이라는 이름으로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 공통점이라면 집단과 조직에서 벗어나 개인으로 부터 시작되는 이야기라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정여울 작가의 '나다움을 잃어버렸을 때'가 가장 와 닿는 내용이었다. 요즘 개인적으로 일과 삶이 힘들다고 느끼고 있고, 일에서, 개인의 삶에서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하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연 '나'라는 사람은 어떻게 살아왔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에 대한 걱정으로 며칠 째 고민중인데. 융의 페르소나와 가면, 진정한 나를 만나기 위해서 어떻게 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충고를 듣는 것 같아서 좋았다.

그동안 남들이 좋다고 하는 것, 남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삶만 바라보고 살았던 것이 깨어져 나가고, 진짜 '나'는 누구일지 더 깊게 고민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