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남자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85
빅토르 위고 지음, 이형식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혹시 아직도 바다에 던져 버릴 것이 남아 있소?
있소
무엇이오?
우리가 지은 죄. p.192

아이를 버리고 떠난 배가 폭풍을 만나고 캐스키츠 군도를 그다음에는 오태치 암석을 그리고 그다음은 온통 바위로 이루어진 오리니 섬을 차례대로 마주하게 된다. 처음은 자신들의 힘으로, 그다음은 물결이, 마지막은 바람으로 벗어나게 된 그들은 그 모든 것에서 벗어났다는 안심하기도 잠시. 화물창이 물로 가득참에 따라 서서히 배가 가라앉기 시작한다.

이 모든 과정이 세밀하면서도 웅장한 묘사로 이루어진다. 왜 아이의 이야기가 안 나오고 그들의 이야기가 이렇게 자세히 나오나 의아해하며 읽었던 부분. 그리고 그들이 죽음을 앞두고 보인 행동을 보고서야 이 부분이 온전히 이해가 되었다.

그들이 기도하며 남긴 서명을 한 역청을 먹인 호리병 속 서류는 과연 어떻게 되는 것일까?! 거기에는 어떤 내용이 작성되어 있는 것일지 궁금하다. 후에 아이에게 닫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치 2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6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희숙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권이 아리송 그 자체였다면 2권은 그래도 1권을 읽어서인지 조금은 익숙했다. 하지만 그 사이사이 나오던 인물 각자의 이야기가 여러 페이지에 걸쳐서 혼자 이야기를 할 때면 이해가 잘되지 않기도 했다.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이해가 잘되지 않는다. 무엇인가 그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걸 통해서 전달하고자 했던 게 있는 거 같은데, 아직 나의 부족한 내공으로는 완벽하게 파악하기는 힘들었던 거 같다.

그래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저자의 백치를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 나중에 다시 재독을 한다면 지금 보이지 않던 부분들이 보이지 않을까? 후에 만날 공작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치 2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6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희숙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작이 아글라야에게 반했다고 소문이 난다. 그리고 나스타시야조차 공작과 아글라야를 꼭 결혼을 시킬 것이고 둘이 결혼을 해야 자신도 로고진과 결혼식을 올리겠다고 한다. 단지 공작이 행복한 걸 보고 싶다는 이유로.

다른 여자와 결혼 시키려는 거 보면 공작을 사랑하지 않는 것 같다가도 행복한 걸 보고 싶다 말하는 거 보면 사랑하는 거 같기도 하다. 그런데 로고진에게 삼주 뒤에 결혼식을 올리자며 날짜도 정했다는 나스타시야.

정말 아글라야도 그렇고 나스타시야도 그렇고 왜 다 자기 맘대로일까?! 그리고 거기에 휘둘리는 공작과 로고진이라니! 또한 자기 맘대로 하는 이 두 여자가 서로 편지를 주고받고 있다니, 앞으로 어떤 일이 휘몰아칠지 그리고 거기에 얼마나 공작이 또 휘둘릴지 걱정이 앞선다. 공작은 정말 이대로 괜찮은 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는 남자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85
빅토르 위고 지음, 이형식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방으로 열린 거대한 황혼 녘의 세계에, 아이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무엇이 있었을까? 아무것도 없었다. 아이는 허무를 향해 걷고 있었다. p.91

포틀랜드 반도에 버려진 아이는 반도가 무엇인지 포틀랜드라는 말이 있는지도 모르는 아이이다. 그저 알고 있는 건 쓰러질 때까지 걸을 수 있다는 것뿐. 허무를 향해 걷고 있다는 표현에 순간적으로 울컥해진다.

그리고 그 아이가 발견한 역청이 칠해진 밀수꾼 시신. 본보기로 교수형에 처한 다음 매달아 놓는 관습은 잉글랜드에서는 금세기 초까지 존속되었으며 이 관습은 밀수꾼뿐만 아니라 절도범과 방화범, 살인범에게도 같은 방법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왠지 모르게 아이의 앞날이 험난할 것이라고 보여주는 듯한 설정이라 불안감이 생긴다.

두려움을 뒤로하고 계속 어딘가 존재할 민가를 찾아 떠나는 밤길, 엎친 데 겹친 격으로 눈송이들이 내리기 시작하더니 눈 폭풍으로 변해간다. 희망이란 게 존재하긴 하는 걸까?! 이 아이에게 어떤 시련이 닥쳐오려고 이런 험한 시작을 보여주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는 남자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85
빅토르 위고 지음, 이형식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흉측하고 기이한 떠돌이 집단, 콤프라치코스. 그들은 어린아이 장사를 했다. 아이들을 사기도 하고 팔기도 한 그들은 아이들을 괴물로 만드는데 이용했다. 그것도 웃기 위해서. 웃기를 원하는 백성들과 왕이었기에 거리의 광장에는 곡예사가 있어야 했고 왕궁에는 어전 광대가 있어야 했다는 것이다. 그들의 즐거움을 위해 어린아이들이 이용되었을 그 상황이 마음 아프다. 그러면 어린아이들의 즐거움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장난감 인간을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 인간의 유년기 때 멀쩡한 인간을 데려다 미숙아로 그리고 멀쩡한 얼굴은 짐승의 낯짝으로 변형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들을 압축해 성장을 억제했다. 정말 자신들이 원하는 용모를 뜻대로 빚은 것이다. 반듯한 아이보다는 꼽추 또는 난쟁이들이 더 즐겁다는 이유 하나로.

책을 읽으며 너무나도 사실 같은 이 이야기에 결국 찾아보았고,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말 경악스럽다. 인간은 도대체 어디까지 타락할 수 있는 것일까?! 애완견처럼 원했던 귀족들의 부의 상징이 되었다는 기형 아이들이라니..ㅠㅠ

앞으로 나올 이야기들이 이 이야기를 고발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니 마음 아프다. 어떻게 읽지?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