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려지지 않은 밤과 하루
배수아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속에 등장하는 '아야미'의 이름이 낯설게 느껴지지 않았다. 왜 아야미일까도 생각해 보았다. '아야'해서 아야미인가 하는 우습지도 않는 허탈한 이야기를 끄집어 내보았다. 아야미는 몇해전에는 배우였고 지금은 극장에서 일하고 있다. 아야미는 자신이 젊다고도, 이쁘다고 생각해 본적이 없다. 누군가의 눈에는 아리따운 한송이 꽃처럼 보이지만 그녀가 보기에는 전혀 그렇지 않은가 보다.

 

극장장의 말로는 자신은 투명인간, 즉 잊혀져가는 인간이라고 한다. 그는 아야미도 자신처럼 될까봐 걱정하고 있었다. 이 극장도 이제 곧 문을 닫게 되고 아야미는 또 다른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위기의 상황이다. 극장장이 보기에는 그런 그녀가 답답해 보일수도 있겠다 싶었다. 두 사람이 주고 받는 대화속에서 '고독'과 '혼자' 그리고 '외톨이' 그리고 '설득'이라는 단어가 한길을 향하고 있음을 느꼈다. 그 누군가를 설득하지 못하면 자신은 혼자가 되어 고독하게 늙어가고 말것이라는 것. 극장장 역시도 그 누군가를 설득시키지 못했다. 그것의 결과가 지금인지 조금 앞에 두어져 있는 미래인지 모르겠지만 그녀의 말에 설득당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사람은 쉽게 설득당하지 않고 혼자임을 자처하게 된다.

 

일상에서 느껴지지 않을 것 같은 분위기를 내포하고 있었다. 비오는 창가에 앉아서 뜨거운 수증기를 마구 뿜어 내면서 그안에 무언가를 쓰고 싶은 기분이 들었다. 라디오가 없는데 극장 어딘가에서 소리가 들려온다. 그 소리를 아야미만이 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왜냐하면 그 누구도 그 소리를 감지할만큼 예민하지도 관심도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 나른한 일상을 그러면서도 차분해 보이는 입술을 타고 나오는 말들은 섬세하기도 하지만 평소에 보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한 생각을 주었다. 그런 문장과 말들이 내게는 느낌있게 다가왔다. 어느 순간 '툭'하고 눈물이 떨어질때, 그 눈물의 근원이 어디인지 알 수 없게 되어 버릴때처럼.

 

아야미의 직업처럼 저자의 글에서 극적인 면이 묻어났다. 이 순간 금방이라도 떠나버릴것처럼, 큰 눈망울에서 눈물이 왈칵 쏟아져 버릴 것처럼, 그렇게 이야기는 시작이라는 의미로 끝으로 다가가고 있었다.

 

"삶에는 마치 나병처럼, 고독 속에서 서서히 영혼을 잠식해 들어가는 상처가 있다……." (121쪽) 어떤 글인지 모르게 불쑥 가슴속에 들어와서 씹고 또 씹어도 나중에 또 씹고 씹어져서, 혹은 단물이 아까운 것처럼 어딘가에 붙여 두고 싶은 기분이 들었다.

 

 

<자음과 모음에서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