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3번지 유령 저택 3 - 유언장에 숨어 있는 비밀 ㅣ 456 Book 클럽
케이트 클리스 지음, M. 사라 클리스 그림, 노은정 옮김 / 시공주니어 / 2013년 1월
평점 :
요즘엔 책을 읽으면서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가족은 무조건적이라거나 헌신적이여야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할때라는 것, 그리고 생각보다 가족이 마냥 그렇지만은 않다는 씁쓸한 생각등 여러가지 생각이 든다. 세상 모든 사람이 등을 돌려도 언제나 내 편이 되어 줄 '가족', 하지만 때론 헛웃음 지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제일 먼저 돌아서는게 '가족'일수도 있다. 다행히도 이렇게 저렇게 살아가고 있지만, 재미있고 유쾌한 동화를 읽으면서 '이건 뭔가?' 싶기도 하지만 그렇다는.
쿠리쿠리 스멜이 남긴 유언장을 둘러싼 남매끼리의 피바람이 일어났을 법한 이야기가 나온다. 피바람은 어른들 세계에서나 그렇고 43번지 유령 저택에서는 그런일이 벌어지지 않아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중이다. 사람은 죽을때나 되어야 변하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진리를 확실하게 깨어주며 쿠리쿠리 스멜가의 남매는 좋은 사람으로 변신해준다. '이렇게 쉽게 사람이 변해, 그게 말이 될까?' 세상에 말이 안되는 일이 꽤나 많이 일어나는 걸 보면 가능하겠지.
법적으로도 현실적으로 확실하게 가족이 된 부루퉁, 올드 미스, 드리미 호프는 또 한번의 위기를 맞게 된다. 드리미는 자기를 쫓아 온 털복숭이 개를 키우고 싶어한다. 부루퉁은 자신이 개를 닮은, 개 같은 사람으로 살아왔다는 편지글에서처럼 동족이라 좋다고 말하지만 올드 미스는 고양이 같은 사람이라(견원지간인지라) 개는 싫다고 강력하게 말한다. 고양이 같은 사람은 웃기지 않지만 개 같은 사람은 웃기다. 우리는 상대방을 욕할때 개 같은 혹은 개xx라 하며 욕하곤 한다. 상대방을 높게 쳐주는 거다.(이말의 의미는...)
집에서 키우던 고양이가 나가고 드리미도 개를 데리고 집을 나간다. 퉁과 올드미스도 이일로 싸우게 되고 합법적으로 가족이 된 공동묘지 삼총사는 또 이렇게 헤어지게 된다. 잠깐의 헤어짐이 오랜 관계를 유지시켜 줄때도 있다. 때론 헤어져 있는 시간이 약이 될때도 있고. 서로의 마음을 잘 헤아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부부도 주말 부부가 좋다고 누가 그러더군요) 쿠리쿠리 스멜이 남긴 어마어마한 재산을 서로 갖겠다고 두 남매는 변호사를 통해서 티격태격하지만 웃기게도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대화를 나누지는 않는 듯 하다.(책속에서는 솔직하게 쓰고 있어서 두 사람이 어떻게 보면 귀여운면도 있었다) 미운정이 더 무섭다고 둘이 함께 싸우고 지내는 시간이 많았더라면 두 사람의 상태가 더 악화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것도 사람 나름이라고??)
쿠리쿠리 스멜은 생전에 친절하고 좋은 사람이였다. 자식들을 잘못 키웠다며 걱정하면서 생을 마감하신듯하다. 남매가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기를 바란듯. 올드 미스 다음으로 쿠리쿠리 스멜이 두번째 유령으로 등장한다. 글자 처리가 눈을 매우 피로하게 했다. 재미있게 읽을 찰나에 집중력을 떨어 뜨리고 말았다. 겁나라 만나 식당의 메뉴판을 보니 나도 먹고 싶어졌다. 쿠리쿠리 스멜이 남긴 유치하지만 나름 고심한 수수께기도 있었고 깨알같은 재미가 책속에 담겨져 있다.
"그래도 당신을 사랑하잖아요." 라는 말은 언제 읽어도 감동적인 것 같다. 말로 하지 않으면, 표현하지 않으면 사랑이라고 할 수 없는 것 같다. 말뿐만 아니라 사람은 눈빛과 행동을 통해서도 말을 한다. 상대방이알아듣게 말해야 한다는게 매우 중요한 것 같다. 유치하지만 솔직하게 그게 매력적인게 아닐까. 꼬옥 안아주는 것, 그것도 매우 좋은 것 같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같이 놀기도 하고 이야기도 나눌 형제가 있다는 게 얼마나 행운인지 두 분도 알 게 될 거예요. (드리미가 쿠리쿠리 스멜가의 남매에게 보내는 편지중에서) 쿠리쿠리 스멜 남매가 얼마나 행운인지 알게 되었다는게 이 책속에서 정말 행운적인 매력이였다. 중요한점은 아이를 개처럼 훌련시키면 안된다는 점. 아이를 진정 사랑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아는 것. 정말 중요한 것 같다.
전에 어떤 지혜로운 유령이 말했듯이 때로는 보잘것 없는 푼돈도 어마어마한 가치를 지닐 수있고, 작은 변화부터 실천하면 결국에는 커다란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법이지요.(111쪽)
(시공주니어에서 책을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