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을 벗고 사람을 담으려오 - 소설로 쓴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문학
김용필 지음 / 문예마당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보면서 '야뇌 백동수'가 떠올랐다. 요즘 드라마로도 방영하고 있는데 같은 시대라서 그런지 그랬던 것 같다. 만화책으로 백동수를 재미있게 읽고 있었는데 드라마에서는 좀 아쉬웠다.  특히 액션장면이 어색하다. 사도세자가 살아있는 전제하에서 이 만화는 시작된다. 사도세자를 살리고자 하는 사람과 죽이려는 자들의 이야기부터 시작되는데 긴장감이 손에 땀을 잔뜩 쥐게 만든다. 액션도 재미있었고 역사의 한 페이지를 다르게 해석하고 있어서 매력적이였다.
 
'연암 박지원' 하면 여러가지가 떠오른다. 열하일기, 허생전, 실학등 말이다. 이 책은 소설로써 이야기를 끌고 나가고 있기에 지루하지 않을 것도 같지만 약간 흔들린다. 왜냐하면 박지원의 삶의 굽이굽이 산넘어 산인줄은 몰랐기 때문이다. 그렇지만도 연암 박지원은 기본적으로 신분이 양반이라는 점에서 그시절에 천민과는 비교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의 삶이 험난하지 않았다고 생각될지도 모르겠다. 조부 박필균은 병조참판을 거쳐 대사간까지 높은 벼슬자리에 있었음에도 사도세자를 운운한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 삭탈관직 당하고 만다. 그리고 아버지는 아프셔서 늘 자리보전하시고 할아버지는 청렴결백이 지나치셔서 그 후로 집안 살림이 어렵게 된다. 정직하게 살아가는게 죄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박지원은 갑자기 가세가 기울어져서 힘들게 살게 된다. 거기에 심한 우울증까지 박지원의 발목을 단단히 틀어 잡는다.

천재라고 말할정도로 뛰어난 사람이였지만 과거에는 낙방하고 만다. 예나 지금이나 세가 없으면 똑똑해도 과거에 등용되어서 나가기가 쉽지 않았다. 특히나 조부를 탐탐치 않게 여기던 반대파 세력들이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었던 것이다. 이래도 한 세상 저래도 한 세상이라지만, 박지원의 우울증을 확 불러일으키는 세상이였다. 어쩌면 예나 지금이나 그다지 달라진게 없다는 것이 우습기도 했다. 백성들이 잘 사는 나라를 만들어 보겠다. 그것이 바로 반역이 아니겠는가.  백성이 잘 살려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불을 보듯 뻔하다. 그 좋은 걸 양반들이 나누려 하겠는가? 지금의 시대가 온 것을 보면 세상의 흐름을 어쩌하지는 못하는가 보다. 박지원의 생애와 문학을 한편의 소설로 짧다면 짧고 한편의 드라마처럼 살펴 볼 수 있었다. 삶이 고단한 만큼 박지원의 문학작품은 백성들의 아픔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책은 북카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 http://cafe.naver.com/readbook.cafe 에서 받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