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인의 건축 -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BIG IDEA
존 스톤스 지음, 김현우 옮김 / 미술문화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문화에서 나온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50인의 건축이다. 50인의 디자인을 선택할까 하다가 이책을 먼저 들었다. 건축이라 하면 전공자나 혹은 관련 분야의 사람들이 볼꺼라는 그런 생각이 있다. 우선은 어렵기도 하고 모르는 단어들도 많다. 생소하다는 것이 맞을 것이다. 건축은 늘 우리 주변에 함께 있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이기에 때로는 산소처럼 무관심하기도 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이기에 마냥 스쳐지나가기엔 뭔가 아쉬움도 든다. 우선 이 책은 복잡하지 않아서 좋다. 건축가를 한줄로 요약해서 말하자면 이런 사람이다라고 큼지막한 글씨로 소개되어 있다. 그 건축가는 잘 모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는 구겐하임 미술관이라든지 등. 영화에서 나와서 우연히 알게 된 건축물이라든지, 그 건축가와 대표적인 작품들이 적절한 분량으로 소개되어 있다. 길지 않아서 다행이였다.

어쩌면 간략한 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그 점이 마음에 드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대략적이면서도 요점적이고 대중적인 느낌이 들어서 마음에 드는 책이다. 건축가와 그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무엇이든지 그것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만큼의 시간을 쏟아 붓기에는 할일도 많고 그만큼 필요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선에서 건축에 대해서 알아나가는 기회가 된다. 20세기 전과 후의 사회 모습과 발 맞추어 변화하는 건축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재미있고 다양한 건축물을 만나 볼 수 있었다. 우리가 주변에서 보는 건축물은 흔히들 말하는 마천루의 스타일이 많다. 하늘을 찔러 버리겠다 싶은 건축물들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세워지고 있다. 뭔가 재미있지도 않고 다른 생각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생각없는 좀비같은 느낌이랄까. 나는 교과서적으로 말하자면 건축이 자연과 사람을 생각했으면 좋겠다. 공간을 더 내어서 이윤을 창출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지만, 마음이 있었으면 한다. 모더니즘 만큼 전 분야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것은 없었던 것 같다. 나도 그 당시에는 매우 멋지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토니오 가우디의 작품중 대표적인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을 볼때마다(실제로 보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기도 하다) 약간 그로테스크한 느낌이 든다. 얼마전에 읽은 책을 써먹어 볼 기회다. 나에게는 괴기스럽게 다가온다. 파밀리아 성당을 세운것도 대단하지만 언제 완공될지 그것도 기대되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