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 찻그릇 茶人圖書 3
윤용이 지음 / 이른아침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에서 자기로서의 청자 제작은 970년대인 광종 연간, 즉 고려의 제도와 문물이 중국의 것을 배우기 시작하던 시기에 이루어졌다.(18쪽) 우리 찻그릇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가져 본적이 없다. 학창시절에 수학여행이나 현장체험때, 박물관에서 본것이(유리 앞에서 보았지만) 가장 가까이 접해본 기회였다. 사람도 나이가 먹으면 몸이 써근써근해서 여기저기 이도 빠지고 힘도 없는 것처럼 그릇도 오랜 세월동안 몸살을 여러차례 치룬 흔적들이 보여 안쓰러운 느낌이 들었다.

찻그릇은 그 시대적 배경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사치가 극대화되던 12세기 후반 의종 연간때는 화려하고 다양한 청자와 찻그릇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청자상감운학문매병(48쪽) 만 보더라도 구름머리를 길게 끄는 꼬리가 비상하는 것처럼 느껴지며 학의 고매한 느낌이 시대계층이 느껴진다. 매우 멋진 느낌이였다. 그 당시 유행했던 청자 찻사발 작품을 구경하고 있자니 왠지 풍류를 즐기며 벗과 술한잔 나누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쌩뚱맞게도 폭포가 멋지게 흘러 내리는 곳에 자리잡고 앉아서 자연을 벗삼아서 친구와 담소를 나누며 차 한잔 하면 근심걱정 모두 사라질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아마도 느낌만 그럴듯.

고려말에는 신흥사대부들의 등장으로 그들이 추구하던 성향에 따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검소한 그릇이 나오게 된다. 화려했던 청자의 시대는 가고 대량 생산하는 과정에 칙칙한 색으로 변하고 문양도 단순해져 갔다. 문양속에서 생동감이 느껴진다. 14세기 후반부터의 끊임없는 왜구의 침략으로 그 이후의 가마가 없다고 한다. 지배계층의 변화에 따라 그릇의 용도가 바뀌어지고 왜구의 침입으로 실용적인 도자기가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분청자는 나름대로 독특한 세계를 지닌다. 그래서 한국적인 것이 무엇이냐고 물을 때 오래전부터 미술사가들은 "분청자를 보라. 분청자에 해답이 있다"고 답해왔다. (93쪽) 분청자는 자유로움과 천진난만함을 갖고 있다고 한다. 아는 것이 부족하여 '그렇구나' 싶었다. 조선시대 백자가 기술이나 재료가 고려시대 청자보다 이득이 많았으며 사대부들에게도 큰 사랑을 받았다. 모든게 그러하듯이 흐름을 무시할 순 없는 것 같다. 보기엔 틀에 얽매이지 않고 생동감이 넘쳐 보였다. 분청자철화어문대발(110쪽)는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아름다운 우리 찻그릇>을 통해서 그 시대적 배경에 따라 변화해 가는 우리 찻그릇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다소 내용이 쉽진 않았다. 한번에 삼키기에는 알지 못하는 것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머릿속에서 맴도는 것을 표현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도 가까이 하기엔 먼 찻사발이지만, 이 책을 통해서 우리의 것을 알아가고 있는 내가 뿌듯한 마음이 들었다. 전에도 해보고 싶었지만, 도자기 체험을 통해서 우리의 찻그릇을 더욱 알아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