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 탄력성>이라는 말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접했다. 
회복 탄력성을 알아보는 지수도 있었는데 내가 매우 약함을 느꼈다. 꽤나 부정적인 사고를 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책 표지에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이라고 멋진 부재가 달려있다. 









회복 탄력성은 무엇인가?
시련에 쓰러져도 금방 긍정적인 힘으로 일어 설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영웅들의 삶은 고난 덕분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갑작스러운 시한부 생명을 선고 받은 사람들에게도 회복 탄력성은 힘과 용기와 행복을 준다. 
모든 작업이 연습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회복 탄력성 역시 노력하면 우리는 시련을 딪고 금방 일어설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다.  


<카우아이 섬 종단연구>를 통해서 그때는 그곳이 식민지라서 아이가 엄마의 뱃속에 있을때부터 성장 과정까지 실험에 참여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곳에서 최악의 환경을 가진 아이들 200명을
뽑아서 실험을 계속했다고 한다. 보통의 생각으로는 최악의 환경(지독한 가난, 부모의부재, 폭력적인)을 가진 아이들은 나쁜길로 빠지는게 당연하다고 여겨지곤 하는데 실험결과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200명중 70명정도는 자신의 살아온 환경과 관계없이 매우 긍정적이고 훌륭하게 자란것이다.  

이 아이들의 공통점은 자신의 편이 되어주는 어른이 적어도 한 명 이상이 있었다는 것이다.
사랑을 받고 자란 아이들은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되어 사랑을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을 지니게 되고, 그러한 능력이야말로 회복탄력성의 
원동력이 되는 셈이다.
(157쬭)
그러려면 사랑하고 사랑받고 살아야 한다. 사랑에너지는 여러모로 세상을 환하게 비춰준다.
사랑합시다. 사랑하면 행복해 집니다. 그럼 시련당하면???

회복 탄력성은 어려운 환경에서 태어난 아이들에게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누구나 다 살아가면서 이런 저런 역경과 어려움을 겪게 마련이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다양한 종류의 크고 작은 역경을 이겨낼 수 잇는 힘이 강한 사람이다. (56쪽)





<위쪽 두 사진은 뒤센 미소의 예.  아래 두 사진은 인위적 미소의 예>







당신의 웃음이 위쪽 두 사진과 유사하다면 당신의 회복탄력성 점수도 높았을 가능성이 크다. 만약 아래쪽 사진에 가깝다면 활짝 웃는 연습부터 시작해야 한다. (87쪽)
실험을 통해서 환한 긍정적인 미소를 지었던 '뒤센 미소 집단'은 '인위적 미소 집단'에 비해 훨씬 더 건강하였으며 병원에 간 횟수도 적었고 생존률도 높았다. (86쪽) 

잘 웃지않는 나지만 웃는 연습을 많이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잘 웃는 다는건 그만큼 긍정적이기 때문에.




<기능적 고정성의 극복 >







심리학자들은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 시험해보는 다양한 문제들을 개발했는데, 그 중 던커가 개발한 촛불 문제가 대표적이다. (107쪽) 촛농을 떨어뜨리지 않고 초를 벽에 붙이는 실험이다. 

전에서도 심리학 책에서 이 실험을 보았다. 생각이 갇혀있다는 것, 그 이상을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은 답답한 일인것 같다. 그 이상을 볼 수 없다는 것은 벽에 부딪쳤을때 그 것 자체가 부정적이라서 달걀처럼 깨져버리고 만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꾸 긍정적인 생각을 해야겠다는 마음이다. 

부정적적으로 생각하지 말고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마음 가짐을 가져야 겠다. 





<청개구리도 얼마나 화가 났으면 뱀을 잡아 먹었겠냐고>
하지만 자연의 순리는 거슬리지 말아야 하느니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잘못은 최소화 하고 자신의 장점은 최대화 한다고 한다. 나같은 경우에는 잘못에 매우 민감하다. 자꾸만 옆사람까지 짜증나게 만든다. 그런 잘못은 두번 다시 저지르지 않으면 된다는 것. 그 잘못을 통해서 얻을수 있는 것만 생각하면 좋을 것을 말이다. 산만한 사람이 집중력을 기르기 위해서 노력하듯이, 회복 탄력성도 노력에 의해서 가능해질 수 있다. 

2004년 수학의 경우 한국의 학업성취도는 3위로 최고 수준이였지만흥미도는 31위, 동기부여는 38위로 최하위 수준이였다.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강압적인 분위기에 어쩔수 없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이들의 잠재적이고 뛰어난 능력을 우리가 적극적으로 없애고 있는것이다. 어린시절에 마음껏 놀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스스로가 찾아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다. 그리고 더 비극적인 것은  아이들이 성적때문에 자살하는 것이다. 
 우리의 교육을 바꾸지 않는다면 아이들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   

무슨일이 벌어질지 암담하다. 

어떤 불행한 사건이나 역경에 대해 어떠한 해석을 하고 어떠한 의미로 스토리텔링을 부여하는가에 따라 우리는 불행해지기도 하고 행복해 지기도 한다. 분노는 사람을 약하게 한다. 화를 내는 것은 나약함의 표현이다. 분노와 짜증은 회복탄력성의 가장 큰적이다. (141쪽)

자, 그렇다면 우리가 인생의 역경을 즐길 수 있으려면어떻게 해야할까?
그 정답은 여러분의 손에 쥐어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