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의 시대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경남 옮김 / 민음사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오랜 시간동안 잡고 있었다. 책을 넘길때마다 쉽지 않았다. 진정 '공감의 시대'에 대해서 진지하게 읽어 보고 싶었지만, 이 책만 들면 잠이 오기 시작했다. 몇페이지를 읽어 내려가기가 쉽지 않았다. 프로이트의 심리학이 끼친 영향이 만만치 않음을 알고는 있었지만, 그의 주장은 편파적인 느낌이 강했다.
 

유아는 태어날때부터 갖가지 에로틱한 형태로 무한한 쾌락을 추구한다. 소위 '쾌락원리'이다. 결국 에고란 사회화라는 이름으로 이드를 통제하고 리비도의 충동을 억제하는 매커니즘에 지나지 않는다.(74쪽) 프로이트의 주장은 이랬다. '쾌락' 호은 '성'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간이 그것만으로는 표현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현재까지도 프로이트의 영향력은 막강한 느낌이다. 프로이트란 이름을 들어보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이니까 말이다. 어떤 이의 서평에서 보니 프로이트의 견해가 앞에 길게 나온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고 하셨는데 나도 그랬다. 그 부분 때문에 이 책의 진도를 빼기가 더 어려웠기 때문이다. 진정 '공감'이라는 부분에서 어느 부분을 더하거나 빼기 위해서 이 부분을 들려놓은 것인지 진정으로 공감되지 않았다.

 

유아기적 성향과 여러 실험을 통해서 그리고 동물들을 통해서 공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아이는 엄마의 뱃속에 있을때부터 서로 소통하고 있다. 아이는 엄마의 모든 것을 전부 받아 들이고 있다. 태어나서 옹알이를 시작하고 눈을 마주치며 그런 과정에서 아이는 점점 성장한다. 과거에는 아이들을 안아주면 전염병에 옮는다는 그런 생각이 강했는지, 아이를 그대로 방치 했다고한다. 과거의 이야기를 들으니 먼 나라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기분이였다. 소위 강대국이라고 말하는 그들은 자만감이 넘쳐 흐르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신도시를 찾았다 말하는 그들측의 이야기만 듣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어 정말 '공감'을 나눌수 있을지 약간의 의문이 들었다. 그들의 과거와 현대가 전 세계를 지탱하는 모든 것을 대변할 수는 없을테니까 말이다.

 

프로이트의 이론으로 하여금 다른 학자들은 정신과 자아의식의 발달에서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이론들이 전개된다. 모든 이론이 상식밖을 벗어날 수도 있지만, 그때는 그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수많은 종교가 박해를 받았던 이유도 기득권층의 이익, 즉 그들의 욕심탓 이였다. 변화를 받아들일 이유도, 자신들의 가진것을 내놓아야 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사람뿐만이 아니라 동물들도 공감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한다. 과학은  여러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증명한다. 과학은 증명되지 않는 사실은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고도 성장은 과학의 눈부신 발전의 결과이다. '공감'이라는 것이 과학적인 증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 세상에 일어나는 일들이 과학적이지 않은 일들이 참으로 많기 때문이다.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구석기 시대에서 현재에 오기까지 이 책은 집약적으로 여러 가지를 보여 주려 많은 노력을 하였다. 하지만 그것이 때로는 한정적이고 어떤 분야에서는 섬세한 노력을 기울였다. 문화나 사회 미술에 대해서도 짧게 '공감'을 끌어내기 위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철학자들을 통해서 그 시대를 이야기하고 그들의 이론에서 정신과 육체, 자아를 말하고 있다. 그당시에 낭만주의라든지 르네상스 운동이라든지 그런 부분을 부분 집어 가고 있다.

 

 '공감'이 극히 유럽 일대에서만 일어나는 일들을 앞에서는 유아기적과 구석기 시대를 살펴보고 프로이트의 이론이 등장했다. 현대에는 우리가 낳아 놓은 이기심을 이야기하고 있다. 현재에는 인터넷을 통해 많은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다. 어떤 부분에서는 일방 소통일수도 있고, 쌍?향일수도 있다. <경쟁의 문명에서 공감의 문명으로> 라는 말은 멋지게 들린다. 현재가 정말 공감이 필요한 시대이긴 하지만 어쩌면 멍텅구리가 되어 버렸는지도 모른다.

 

 

나 역시 정말 편협적이다. 이 서평을 쓰면서 또 무언가에 흥분해 버린걸까? 종종 서평을 쓸때면 객관적이지 못하고 어떤 감정에 휩쓸리고 만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닌데 왜 자꾸만 남의 다리를 긁는 걸까? 나도 알수없다. 이 글을 쓰고 나서 약간 후회스러웠다. 한가지 생각에 치우쳐 버리고 만 나 자신이 말이다. 이 책은 흥미로운 부분도 많고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다. 그동안 한쪽면만 알았던 것을 좀 더 깊이 있게 나아갈 수 있는 부분도 있었다. 그리고 다른 이의 글을 '옳다 아니다' , '기다 아니다' , '그렇다 아니다'가 주가 아닌데 난 무엇에 집착하게 된걸까? 그래서 빠른 수정을 보려고 했으나 귀차니즘이 밀려왔다. 하지만 아닌것은 아니니까 다시 밑에다 내 생각을 적어 본다. 아마도 강대국이니 약소국이니 우리가 약자의 입장이라서 순간 폭발했는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을때면 나도 모르게 불끈하거나 별것도 아닌것에 흥분하거나, 그 책이 너무 마음에 들거나 별로이거나 여러가지 감정들을 느끼게 된다. 중요한것은 그것만 놓고 보아야 하는데 다른것을 자꾸만 끌어들인다. 부부 싸움이 커지게 되는 이유도 처음에 싸운 이유가 다른데로 불똥이 심하게 튀기 때문일것이다.

 

나의 이런 생각이 이 책을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편협적인 생각이 들지 않기를. 책을 읽을 때나 무엇을 바라볼때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인 사람이 되기를 오늘 하루도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