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노트 - 유쾌한 지식여행자의 80가지 생각 코드 지식여행자 11
요네하라 마리 지음, 김석중 옮김 / 마음산책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유쾌한 지식여행자의 80가지 생각 코드>  자신도 알지 못한 채 미디어를 통해서 우리의 생각이 지배당하고 있는 느낌을 받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엉뚱하다 혹은 어이없다 혹은 기가막히다 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다. 엉뚱한 사람들과 정말 어이없을정도로 자신의 매력에 흠뻑 취해서 사는 우주 비행사의 이야기를 들으니 웃음이 나왔다. 이 세상은 실로 다양한 사람들의 집합소이다. 이솝의 대표작인줄은 몰랐지만, 내게는 바람과 햇님으로 익숙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어느 날 북풍과 태양이 서로 자기 힘이 세다고 자랑한다. 처음에는 북풍이 우세하게 나갔지만, 나중에 태양빛에 나그네는 옷을 벗고 만다. 이 이야기에 빗대어 정치, 경제, 미디어의 이야기가 나왔다. 처음엔 북풍형처럼 사람들을 억압해왔지만 지금은 태양형이라서 우리가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에는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전혀 모르겠다. 정신의 자유를 위해서는 허울뿐인 자유보다는 자각하고 있는 속박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90쪽) 자신도 알지 못한체 미디어를 통해 우리의 생각이 지배당하고 있는 느낌을 받는다. 그것을 미처 깨닫지도 못한 채 말이다. 

재미있는 이야기도 있으며 모든 분야를 망라한 지식의 부분들이 이 책에 등장한다. 그리고 저자의 경험담을 통한 입답과 재치과 즐겁다. 저자가 일본인이긴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도 꽤 오랫동안 살아왔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전통적인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다. 어떤 면에서는 생각의 한계에 부딪치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 정말?’ 하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그것은 <객관성의 전제조건>속에서 우주 비행사의 이야기였다. 우주 개발에 관한 심포지엄에 통역관으로 참석한 저자는 우주 비행사에게 고마움의 표시로 선물을 받는다. 바쁜 일과로 프론트에 맡겨놓겠다는 말과 함께 그녀는 다음날 아침 그 선물을 보게 된다. 마음을 다해 준비했다는 선물은 자신의 브로마인드에 요란한 사인, 바로 그것이였다.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먼저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을 냉정하게 바라볼 줄 알아야 한다는 사실을 그때 마음에 새겼다. (107쪽)

말을 하면서 생각하는거지만, 절대로라든지 결코라는 말은 쓰지 말아야 겠다. 주변에서 그런 단어를 쓰는 사람들은 꼭 그일을 하게 된다. ’절대 난 그러지 않겠어.’ 라고 말하는 사람이 꼭 그렇게 하는 경우를 종종 보았다. 재미있는 일이다. 이세상에 ’절대적인것은 없다’라는 말처럼 말이다. 무엇이든지 단정짓는것은 별로라는 생각이 든다. 세상일은 아무도 모르니까 말이다. 
점점 더 정보가 많아지는 사회에서 강박관념에 쫓기듯이, 마치 중독자처럼 정보를 삼켜대는 현대인들이 끊임없이 먹이를 쪼아먹는 양계장의 닭처럼 보일 때가 있다. (187쪽) 세상이 사람들 힘들게 만든다. 정보에 빠르지 않으면 안되고 모르면 안되는것처럼. 솔직히 몰라도 상관없는것도 꽤나 많은데 말이다. 읽으면 읽을수록 다음엔 어떤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는지, 할머니의 이야기 보따리 만큼이나 재미있게 읽었다. 우리 할머니는 재미있는 이야기는 거의 않해주셨지만도. 다른이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들을 몇가지 머리속에 넣어 보았다. 재미있게 이야기를 해주려고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긴장을 하고 만다. 전에는 이야기가 다 끝나기도 전에 나혼자 웃어 버려서 친구들이 "뭐야?" 했던 경우가 허다했다. 이제는 혼자  웃고 혼자 떠들지 않는다. 타인의 이야기를 들어주는것이 얼마나 힘든지 알기 때문이다.이 책의 시간은 좀 흘렀지만, 과거속의 삶과 현재의 삶이 크게 달라진바는 없다. 고도의 문명이 발달하고  있지만, 사람 사는 세상은 거의 비슷한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