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한 책 ㅣ 일루저니스트 illusionist 세계의 작가 4
카를로스 마리아 도밍게스 지음, 조원규 옮김 / 들녘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책의 첫장을 펼치는 순간부터 웃음이 터져나왔다. 유머집도 이정도는 아닐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시작은 이렇다. 1998년 봄, 블루마 레논은 소호의 어느 책방에서 에밀리 디킨슨의 구판본 시집을 사서, 첫 번째 교차로에 이르러 막 두 번째 시를 읽으려는 순간 자동차에 치이고 말았다. (5쪽) 심각한 상황에서 웃을수 밖에 없는 이유는 다 저자의 책임이다. 그 다음에는 책이 위험한 이유에 대해서 열거를 하는데 폭소를 터뜨릴수 밖에 없었다. 어찌보면 우연치고는 너무 절망적인 사건이기도 하고 하도 어이가 없어서 웃음이 나왔다. 책이 위험하다는것은 맞는 말이다. 책이 다 좋은것만은 아니고 어떤책은 다양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그것이 좋은방향일수도 그 반대일수도 있다.
위험하다는 것은 나쁘다는뜻만은 아닌것같다. 자신을 변화시키는것 그 역시도 위험한 일이다. 무언가의 변화에 대해서 사람들은 많은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첫장에 등장한 블루마 레논이 죽고 그녀앞으로 소포가 도착한다. 그 책 겉표면은 회반죽이 묻어있고 어쨌든 너덜하고 지저분한 책이였다. 그 책을 이유로 그는 브라우어를 찾아 길을 나선다. 문득, 좀머씨 이야기가 생각이 났다. 많은 이들이 이책을 통해서 새로운, 무언가, 깨달음 뭐 비슷한것을 얻었다고 하는이도 있었지만, 그리고 매우 잘나가는 책이였다. 솔직히 난 이 책을 읽으면서 책은 정말 위험하다는 생각을 했다. 왜냐하면 난 아무런 느낌이 없었기 때문이다. 좀머씨가 말하고 싶었던것을 나는 알아들을수가 없었다. 내가 둔감한건가, 아니면 책이 내용보다도 더 심오하게 사람들에게 읽혀진 탓일까. 다시 이책으로 돌아와서 브라우마를 찾아나서는 내용에서는 왠지 모를 기대감에 부풀어 올랐다.
앞에서 이어져온 내용에 비하면 굉장히 흥미진진할꺼라는 생각이 들었다. 델가도씨를 통해 들은 브라우마씨는 책을 너무 사랑해서 미쳤거나, 혹은 집착하는 사람이였다. 그는 모든 재산을 책을 사들이는데 모조리 썼고, (책은 관리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델가도씨의 말에 동감이다. ) 돈이 다 떨어지자 브라우마씨의 생활은 엉망이 되어 버렸고 결국에는 바닷가 언저리에 책으로 집을 지었단다. 2만권이 넘는책을 집짓는데 다 써버렸을까? 그리도 아끼던 책으로 집을 지었을때의 느낌은 어땠을까? 나 역시도 책을 버리는데 엄청난 시간이 필요한 사람이다. 나도 모르게 책을 사랑한다기 보다는 집착하게 되는것 같다. 블루마 역시 책을 사랑했지만, 그 방법이 옳은건지는 모르겠다. 브라우마는 블루마가 보내달라는 책을 아마 그가 지은 책으로 만든 벽 어디선가 찾아낸것이 분명했다. 책을 그토록 아끼던 그가 책으로 집을 짓고 결국에는 한권의 책을 찾기 위해서 모든것을 파괴한 이유는 뭐였을까? 지독한 사랑의 결정체는 결국 '파괴'로 끝을 맺는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