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리텔링 쓰기 - 전방위 문화기획자를 위한
장상용 지음 / 해냄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사람들은 재미있는 소재와 이야기에 늘 관심을 기울인다. 유머 한마디로 상대방을 즐겁게 할 수 있다는건 대단한 위력이다. 이 책은 어느 분야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여러장르를 넘나들며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우리가 즐겨보았던 드라마나 영화 그리고 만화와 소설에까지 익숙한 이야기로부터 시작한다. 이야기속에서 선과 악의 대치는 불가피하다. 선이 악을 어렵게 물리칠수록 더욱 환호하고 열광한다. 그 과정속에서 관객을 너무 짜증나게 하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노련한 솜씨로 적재적소에 관객들을 울게만들었다 웃게 만드는, 그들은 마법사처럼 느껴진다. 그 영화속에서 무언가가 아쉽게 느껴졌었는데 그것은 바로 이런점, 혹은 단번에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아 버린 그 드라마속 이야기가 쓰여져있다. 고수들에게 듣는다에서는 짧지만, 작가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예전부터 노희경 작가의 작품을 꽤 좋아했었다. 노희경 작가의 느낌은 배우 배종옥씨의 극중 캐릭터와 많이 비슷한 느낌이였다. 다부지고 찔러도 피 한방울 나지 않을것 같지만, 상처가 많고 여린 느낌이였다. 김수연 작가의 직설적이고 다부진 성격의 캐릭터들과는 또 사뭇 다르다. 극중 주인공들은 약간 히스테리적인 면이 많고 정곡을 콕콕 찔러가면서 말하지만 얄밉지않다.
요즘은 지겨운 막장 드라마가 많다. 더 강하고 센것을 넣지 않으면 시청자들이 꿈쩍도 안할기세라서 그런가 보다. 언제부터인지 드라마의 내용이 아쉬운점이 많다. 시청자들이 눈치 채지 않게 할 만한 장치가 부족한 것 같다. 많은 장르속에서 빠질수 없는 이야기중 하나가 사랑이다. 다 똑같은 사랑타령이지만, 작가의 역량에 따라서 이야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인기있는 만화가 드라마나 영화 혹은 뮤지컬로 만들어 지곤한다. 드라마 <궁>역시 드라마를 통해서 먼저 알게 되었었는데 드라마의 코믹한 부분과 입헌군주제라는 전제가 독특하고 재미있었다. 중년 배우분들의 탄탄한 연기력과 신과 채경의 캐스팅이 잘 어울렸다. 극중 효린이라는 인물이 더 악역을 자처해서 연기해 주었더라면 더욱 완성도가 높아졌을 것이다.
여러 작품을 가지고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면서 그 작품의 좋은점과 아쉬운점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인기있는 작품은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관객의 마음을 읽어내고 탄탄한 스토리 텔링이야말로 모든 작가의 꿈일것이다. 나 역시도 재미있는 이야기를 마음속에서 끄집어 내어서 다른이들에게 해주고 싶다. 원시시대부터 이어져온 인간의 본능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