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종말시계 - '포브스' 수석기자가 전격 공개하는 21세기 충격 리포트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시작은 매우 구체적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석유의 자리가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일상 생활을 통해 상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얼핏 이 책의 느낌은 좀 어려울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않다. 저자의 내공이 상당한가 보다. 지루한 책은 지루한가 보다하고 읽고 재미있는 소재의 책도 때론 지루한가 보다하고 읽는데 이 책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내가 이정도면 다른분들은 더 재미있게 느껴지리라 생각된다.

 

차례를 살펴보면 4달러의 전주곡, 1갤런당 6달러, 1갤런아 8달러 그렇게 2달러씩 뛰어서 1갤런당 20달러까지 간다. 1갤런은 3.785리터이다. 요즘 공부하고 있는 책에서 이 단위가 자주 나온다.(아는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 나만 몰랐던것 같기도 하다.)

지금 <석유종말시계>라는 말이 현실과 와닿은 시점에서 이 책을 읽어보길 잘했다. 미친듯이 요동치는 유가의 변동에 따라 우리의 물가 역시 그 리듬에 맞추어 스탭을 밟을수 밖에 없다. 이것이 현실이다. 우리는 언제까지 석유에 의존할 수 없다. 이제 곧 석유는 우리에게 작별인사를 할것이다. 그것이 정말 먼 미래가 아닌 가까운 시일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듯이 무한의 에너지란 없을것이다. 석유를 대체할만한 태양열, 풍력, 조력, 지열, 바이오, 원자력등 여러 종류의 에너지를 찾고 개발해야 하며 앞으로 해결해야할 숙제가 많다. 산업혁명이후, 무섭도록 빠르게 경제가 성장하고 일어난만큼 우리의 환경에 대한 수명도 앞당겨졌다.

 

유가의 변동에 따라서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화할것인지 이 책에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해주고 있다. 상상만으로 생각하는것과 달리 현실에 와닿는 책이다. 우리의 이야기와 이웃의 이야기가 이 책에 쓰여있다. 삶의 현장과 바로 맞닿는 이야기며, 우리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도로상에 수많은 차들이 운명은 어찌 될것인가? 석유와 휘발유의 대체 에너지로 전기와 태양광이 진즉에 떠오르고 있었지만, 아직 현실세계에는 좀 거리가 있다.

 

석유나 휘발유를 떠올리면 도로위의 차를 떠올리게 마련인데, 이 책에선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부터 하루의 삶이 고스란히 석유와 관련지어서 생생하게 말해주고 있다. 우리가 얼마나 많은 부분을 석유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는지 이 책을 통해서 깨닫게 되었다. 막연하게 아는것과 이 책을 통해서 들여다본 생활속에서 석유의 존재는 실로 거대했다. 우리가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식사를 하고, 학교나 직장을 가고 집이나 직장에서 쓰는 모든것이 석유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들이였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생활이 되어버렸기에 감지를 하지 못한것이다. 이 책의 제목처럼 <석유종말시계>는 곧 석유의 종말을 알릴것이다. 미래에 어떤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해서(알지 못하는것에 대한 두려움, 공포) 말해주고 있기에 불안함을 떨쳐버릴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