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은 사랑하지 못하는 병 - 사랑했으므로, 사랑이 두려운 당신을 위한 심리치유 에세이
권문수 지음 / 나무수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일때는 직접 겪어보고서야 깨닫는 감정들이 있었다. 그렇게 깨닫기까지 많이 부딪치고 아파해야 한다.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감정이 사랑이지만, 우린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 처음엔 그 낯선 감정때문에 얼마나 혼란스러웠는지 모른다. 이 책에 담겨있는 다른 이들의 사연들은 꽤 재미있었다. 많은 이들이 겪었을 감정이고 내가 사랑에 서툴렀던 바보같은 사람이였기 때문이다. 저자도 처음엔 무뚝뚝하고 차가운 모습이 여자들이 좋아하는 줄 알고 그랬었던 적이 있다고 한다. 서로의 마음에 대해서 말하지 않으면 알 수 없듯이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도 배워야 할 것 같다. 시련의 아픔은 시간이 흘러가면 괜찮아진다고 그냥 둘 수도 있지만, 이런 감정의 상처들이 또 다른 사랑을 두렵게 만든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막을 치기 때문이다.

 사랑이 두려워서 도망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실제론 그의 깊숙한 삶의 환경이 끼친 영향이 만만치 않음을 알았다. 자신이 살아온 환경에 따라서 사람의 성격이나 성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자신의 상처를 극복하지 못해서 다른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았다. 사랑하는 일도 사랑받는 일도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다.

 "꼭 사랑의 상처가 아니더라도 누구에게나 평생을 안고 살아야 할 상처가 하나씩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냥 지금 당장은 이해가 되지 않아도 오해하지 않고, 등 돌리지 않고, 좀더 지켜봐주는 것, 그리고 기다려주는 것. 전 그게 사랑인 것 같습니다." - 두번은 사랑하지 못하는 병/권문수/나무[수] - 
여기선 나처럼 마음을 잘 표현하지 못해 오해가 생긴 사랑이야기가 있었다. 저자의 도움으로 서로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사람은 무의식중에 자신의 허전한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고의적으로 여러 사람을 사귀며 상처주는 사람도 있지만, 그 자체에 대해서 잘못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나쁜 남자에 대해서 나역시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사람을 대할때 겉모습만 보고 나도 모르게 편견에 사로잡힐때가 많다.

사랑의 아픔에 힘들어 하다 심리상담을 받으며 괜찮아진 그녀의 한마디가 인상적이였다. 사랑도 인생도 포기하지 않겠다고 말이다. 그녀의 말이 맞다. 사랑도 인생도 포기해선 안된다. 시간이 지나면 상처가 무뎌져서 괜찮아진것 같아도 또 다른 사랑에 대해 두려운 마음이 있다. 우리가 받은 상처에 대해서 쉽게 생각하면 안되겠다. 아프지 않게 다독이고 우리의 마음을 스스로 치유하는 법을 터득해야한다. 정말 좋은 사람을 만나 사랑하게 되면 과거의 상처때문에 흔들리지 않고 이쁜 사랑을 하기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