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오 - 테러리스트의 탄생
윌러드 게일린 지음, 신동근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사랑하는 일도 미워하는 일도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한 일이다. 사랑하는 일은 온 세상이 아름다워 한없이 행복하겠지만, 미워하는 일은 온몸을 불구덩이에 내던진것처럼 고통스러운 일이다. 정말 무서운것은 미워하면서 그 사람을 닮아간다는 것이다.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테러리스트들의 자신의 생명도 불사하는 테러 행위의 근간은 무엇인지, 나로선 이해할 수가 없다. 어린 소녀가 폭탄을 들고 자폭하는것도, 무고한 사람들의 목숨을 빼앗는것, 어떤 이유를 대든지 간에 그 입장에 설 수 없다.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행동에 영향을 준 다른 문화적 규준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극단적인 증오가 생겨난 원인을 알아야 한다. 그 원인을 안다고 해서 그것을 막을수 있을것인가? 그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자연스럽게 그런일들을 터득하고 세뇌당하고 사는지도 모른다. 강대국에 의해서 그들의 피해는 알려지지 않은체 그들이 행한 극단적인 행동들만 우리에게 보여진다면 어떤가?

 뉴스에서 나온 연쇄 살인범을 사이코패스라고 말하고 그들의 행동양식에 대해 추적해 본다. 그의 어린시절이 불우했으며 힘든시절이야기가 나온다. 불우한 어린시절 보내면 다 살인자 되나? 정신병이라는 진단만 받으면 죄를 짓고도 병원에서 요양할 수 있다. 확실한건 죄를 지었으면 거기에 맞는 벌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중요한것은 어떤이가 정신병을 앓고 있는지 진단을 내리기가 어렵다. 그가 학대를 받아서 심각한 정신병이 있을수도 있고, 단지 벌을 피하기 위해서 쇼를 하고 있는지 말이다.

 끔찍한 대학살이라면 20세기에 일어난 유태인 학살을 빼놓을 수 없을것이다. 전에 읽었던 책에서 유태인의 피부를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비누로 만들었다는 내용을 읽고는 끔찍함에 몸서리쳐졌다. 인간이 그런짓을 했다는것이 무섭게 느껴진다. 유태인을 그토록 증오하게 만들고 학살하게 만든 히틀러와 그 일당들의 이유같지 않은 이유. 그리고 방관했던 강대국들.

 이 책에서는 사람의 감정의 변화와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는 테러리스트의 심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다. 증오는 절망감에 대한 방어이다. 증오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은 세상을 심하게 왜굑해서 받아들인다. 증오는 단순하지 않고 매우 복잡한 감정이다. 저자의 말처럼 훨씬 더 큰 위험은 항상 개인의 비참함을 냉소적으로 악용하고 조종하려는 사람들, 자신의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증오를 조장하고 조직화하려는 사람들이다. 그런것들로부터 우리는 온전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