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버 트위스트 푸른숲 징검다리 클래식 6
찰스 디킨스 지음, 왕은철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리버 트위스트>를 언제쯤 읽었는지 잘 기억은 나지 않는다. 오래된 추억속에 잠들어 있었던 그 이야기를 솔직히 꺼내들고 싶지는 않았다. 내가 읽은 책속에서 올리버의 삶은 무척이나 고달펐다. 이 책은 올리버의 고달픈 삶속에서 희망을 잃지 않고 행복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책에서는 전에 읽었던 책에 비해서 짧막하게 이야기를 하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였다. 읽으면서 내내 가슴아프고 책장이 넘어가는 것이 고통인 책들이 있다. 처참할정도의 올리버의 어린시절이 상세하게 그려져 있었던 그 책은 글씨가 개미만 해서 읽기도 힘들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덮을수도 없었다. 올리버 트위스트가 행복을 찾기도 전에 올리버는 굶주림과 학대에 죽었을지도 모른다.

 

 19세기의 영국은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해 급속도로 변화해 가고 있었다. 가난에 허덕이며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힘든 사람들이 대다수였다. 일을 할 수 있기만 하면 어린아이 할 것 없이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열심히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나기란 힘든일이였다. 모 드라마에서 어떤 남자주인공이 여주인공에게 자신은 원두커피를 마시지 않는다고 한다. 그 이유 인즉 아이들의 노동력을 착취하여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란다. 처음에 그 남자의 말에 웃음이 나왔지만, 생각해보면 틀린 말도 아닌듯 싶다.

 

 올리버의 생의 첫 발돋움이란 어둡고 눅눅하기 그지 없었다. 그의 어머니는 거의 탈진한 상태에서 간신히 구빈원에 와 올리버를 낳고 죽는다. 부모가 되기 위해선 아무리 좋은 부모라 할지라도 이세상에 없다면 무슨 소용이겠는가.  자신의 운명을 알 수 없으니 부모가 되기 위해선 알 수 없는 미래를 위해서 준비를 해두어야 한다. 사랑하는 아이를 위해서 말이다. 올리버의 구빈원에서의 삶은 끔찍하다. 어찌 저런 인간들이 있나 싶어서 울화가 치민다. 한참 먹어야 될 아이들에게 하루에 한끼의 죽이 전부이다. 그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학대하고 못살게 군다. 그래서 생각하는 거지만, 죽음이 끝이 아니길 바란다. 지옥의 불구덩이의 맛을 단단히 봐야 한다. 올리버를 기다리는 것은 절망적인 삶이 전부가 아니라 다행스러웠다. 올리버는 나쁜길로 빠질 수 있음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을 진심으로 걱정해주는 좋은 사람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아간다. 아마도 현실은 그러지 못했을 것이다. 

희망은 절망속에서도 꽃을 피운다 하였으니 희망은 결코 버려선 안된다.


 

 이 책에 등장하는 낸시라는 인물은 올리버를 도둑의 소굴로 다시 끌어들지만, 결국엔 낸시 덕분에 올리버는 그 소굴에서 벗어 날 수 있었다. 낸시 역시 삶에 벼랑끝에 매달려 어쩔수 없이 도둑으로 살아왔지만,  자신이 한짓이 나쁜것임을 알고 있었다. 낸시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올리버를 도와주었다. 도둑의 소굴로 돌아가지 않고 인간답게 살 수 있었음에도 사이크스에게 돌아갈수밖에 없는 그녀의 감정은 아마도 사랑이였던 것 같다. 그가 아무리 야비하고 악인이라해도 곁에서 지켜주고 싶었던 것이다. 하지만 낸시의 처참한 죽음은 너무나도 안쓰러웠다. 결론적으로 사이크스같이 나쁜 인간들은 벌을 받고 올리버는 행복해져서 다행이다. 현실에서도 그랬으면 좋겠다.

 

현재에도 많은 아이들이 힘들게 살아가고 있다. 이 땅에 태어나 내가 누리고 있는 모든것이 당연한것이 아니였다. 그 누군가는 지금도 힘들게 일하고 있고, 먹을것이 없어서 끼니를 잇지 못한다는 생각을 하니 가슴이 답답해져온다. 모든것을 대할때 고마운 마음을 가져야겠다. 그리고 누군가는 간절히 원하는 행복임을 잊지 말고 살아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