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막힌 말솜씨 - 우아한 설득에서 치명적 유혹까지
로만 브라운 지음, 이미옥 옮김 / 흐름출판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상대방에게 'Yes'를 얻어내기 위해 우리는 감정적 논증을 펼칠 수 있는 2가지 힘의 원천을 가지고 있다. 즉 '채찍'과 '당근'이다. 긍정의 대답뿐만 아니라 모든일에는 채찍과 당근이 필요하다. 학창시절에 선생님들께도 기막힌 말솜씨가 있었더라면 수업시간에 덜 졸았을텐데. 재미있는 수업이 있는가 하면 무지 지루해서 초침이 분처럼 흘러가는 시간도 있었다. 강연도 마찬가지였다. 관중에 앉아 있는 모든 사람들을 집중하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꿈나라로 보내시는 분들도 있다. 이 책에서도 말하지만 어떤 주제의 '진지함'이 아니라 '중요성'이다. 그리고 이것은 엄청나게 중대한 차이다. 방대한 자료들과 지식 역시 중요하지만 그것을 관객의 입장에서 풀어내지 못하면 그것은 '소귀에 경읽기'나 마찬가지다. 특히 전문지식을 요하는 강연일경우 어려운 단어들때문에 금방 집중력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거기에 대고 줄줄이 지식만 읊어 준다면 어찌 될것인가? 아마 우리의 몸은 앉아 있으나 머리는 유체이탈을 시도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서 말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주니 재미있고 확실하게 차이를 알아나갈 수 있었다. 상대방에게 나의 요점을 확실히 전달하기 위해서 최선의 방법과 해서는 안되는 악습에 대해서도 잘 설명되어 있다. 나는 말을 하면서 종종 실수를 하거나, 내 마음과는 상관없이 다른뜻으로 전달대어 당황스러운적이 꽤 있었다. 말이 조사에 의해서도 달라지고 같은 말을 해도 유난히 기분 나쁘게 하는 사람도 있고 말들이 살아서 움직이며 다양한 오해를 불러 일으킨다. 살아가면서 우리의 의견을 많은 이들에게 알려야 할때가 많다. 학교에서도 직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초보자일때의 실수는 웃으면서 넘어갈 수 있으나 그 실수를 되풀이 해서는 안된다. 우리가 진정한 프로가 되기 위해서 실수를 통해서 배우고 주제의 정확한 요점을 상대방에게 알려야 한다.
주변 사람들의 생각을 긍정적이며 지속적으로 발전하도록 조종하려면 사전 가정의 '힘'을 더 많이 이용하도록 하라. 즉, 강연자로서 사람들을 설득할 때 도움이 되는 기준은 자기확신임을. 말하는 자신이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그 말을 어떤 사람이 믿어주고 들어주겠는가? 강연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의 원활한 대화를 이해서도 이 책을 읽어보면 많은 도움이 되겠다. 말하는 방법을 조금만 바꾼다면 서로 기분 나빠할 일도 적을것이며 일의 능률도 향상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