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운의 우리 땅 과학 답사기 - 30억 년 한반도의 자연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땅의 비밀을 찾아 떠난다! 손영운의 우리 땅 과학 답사기 1
손영운 지음 / 살림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운 우리 땅에 태어났음에도 그것을 모르고 지냈다는건 '참으로 어리석었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잘 알지 못했었던 우리땅의 변천과정을 조금은 알게 되었다. 알고서 바라보게 되는 우리땅은 신비 그 자체였다. 언젠가 가보았던 곳이 그런 과정을 거친 땅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을때는 아무런 감흥도 없었다. 저자의 자발적인 우리 땅 돌아보기가 아니였다면 이런 기회가 없었을것이다. 저자의 글에서 우리땅에 대한 사랑스러운 눈길이 내 마음에도 느껴졌다.

학창시절에 수업시간에 배웠던 지구과학은 참으로 흥미로웠다. 물리시간에는 거의 졸다시피 하던 나였지만, 지구과학 시간에는 늘 초롱초롱 깨어있었으니까 말이다. 총제적으로 과학이라는 학문은 매우 흥미로우나 내 지식이 짧아 과학과 내 머리는 늘 충돌하고 말았다. 

 
불의 땅위에 세워진 도시 경기도 연천, 자연과 사람이 만나는 아름다운 땅 경기도 포천, 사라진 것들을 잉태하는 한국의 그랜드캐니언 시화호, 세계적인 갯벌과 겨울 철새의 고장 강화도, 바람과 파도가 만든 땅, 실크로드 충청남도 태안, 퇴적 지형의 종합 전시장 전라북도 부안, 우리땅의 가장 큰 지각변동을 보여 주는 호남의 지붕 전라북도 진안, 고인돌과 선운사가 있는 곳 전라북도 고창, 공룡 발자국 화석의 메카 전라남도 해남, 신선과 공룡이 함께 놀았던 땅 부산 태종대, 신생대에 열린 바다 경상북도 포항, 용암과 화산재가 함께 빚은 노을 경상북도 청송, 강물의 힘이 만들어 낸 경상북도 안동, 퇴계 이황이 사랑한 산수의 고장 충청북도 단양, 하늘과 가장 가까운 도시 강원도 태백, 한국의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 강원도 삼척, 적도의 바다에서 이동해 온 땅 강원도 영월, 고원의 청청한 하늘과 바람이 있는 곳 강원도 평창, 호수/바다/산이 함께 있는 곳 강원도 속초, 폭포와 옥 그리고 추억의 도시 강원도 춘천, 신생대 화산 활동이 남긴 자취들 제주도 남제주군이 소개되어 있다. 

책을 읽을 때 차례를 잘 보지 않는 나이지만 이 책은 차례에 그곳에 대해 한마디로 잘 소개해 주고 있다. 그래서 꽤 많은 줄이라서 쓰기 싫었지만,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것이라 생각되었다. 

 세계 5대 갯벌 장화리가 소개 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남황해안의 갯벌은 영국의 갯벌에 비해 오염물질 정화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고 한다. 그런 갯벌을 우리는 대규모 간척 사업만을 추친하는데 열심이니 무지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이땅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읽어 보았으면 좋겠다. 무엇이 어떻게 변화하고 얼마나 아름다운 곳이 우리나라에 많은지 직접 느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다. 

 

자연은 순수한 상태 그대로일때 정말 자연스럽고 아름답다. 지역마다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자연이 말그대로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기름유출 사고로 인해 바람과 파도가 만든 땅, 실크로드 충청남도 태안이 아파하고 있다. 자연이 스스로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지켜주고 보호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우리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알아가는 계기가 되어서 너무 좋다.  이 책에 소개된 곳들을 돌아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저자의 말대로 우리나라가 중국처럼 커서 비행기 타고 다니지 않아도 되고 기차나 버스를 이용해서 언제든지 떠나면 되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