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리그 경영학 부키 경제.경영 라이브러리 2
제프 앵거스 지음, 황희창 옮김 / 부키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저자의 말대로 야구와 경영학이 무슨 관련이 있을까 싶었다. 책을 읽다 보면 여러가지 룰이 나온다. 야구에서도 인생에서도 경영학에서도 룰은 꼭 필요한 것 같다. 자신이 지켜나가야 할 목표이기도 하고 버팀목이 되기도 하니까 말이다. 이 책은 읽다보면 야구와 경영학은 샵쌍둥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 알것 같고 그래 맞는 이야기야 하면서도 우리는 늘 흐지부지 하는 경우가 많다. 알고 있는 것과 실천에 옮기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이기 때문이다. 야구는 혼자서 잘한다고 이기지 않는다. 사회에서도 팀플레이이기 때문에 팀을 잘 꾸려나가야 프로젝트에 성공할 수 있다. 야구에서의 용병술은 사회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어떤 일은 시작과 끝이 있는 게 아니라 순환할 뿐이라고. 사람들은 인생은 마라톤이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난 아닌것 같다. 마라톤은 42.195km를 뛰고 나면 완주이다. 누군가가 덤비거나 위험요소들은 제거 되어있고 자신과의 싸움이다. 마라톤처럼 인생이 그 안에서만 질주된다면 무슨 문제가 될까 싶기도 하다. 우리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생활을 하고 있다. 야구는 일루에서 이루, 삼루, 홈까지 야구는 9회말 까지 계속해서 이어나간다. 한 시합으로 끝나는 것이 야구인가~  계속해서 싸우고 깨지기도 하고 이기기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어떨땐 한점 빼기도 힘들어서 고군분투 하다가도 시원한 홈런 한방에 시합의 흐름이 순식간에 바뀌어 버리기도 한다. 그리고 야구의 묘미는 끝까지 가봐야 한다는 점이다. 야구는 9회말 2아웃 부터라는 말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야구와 경영학의 연결고리가 탄탄하다. 이것 역시 우리 관점의 변화가 필요한것이 아니었나 싶다. 저자는 유능한 야구 칼럼니스트이자 경영 컨설턴트라서 <메이저리그 경여학>이라는 책을 쓸 수 있지 않나 싶다.  잘 몰랐었던 생생한 야구 이야기에 빗대어 경영학을 분석해 내고있다. 야구에서 스트라이크만으로 상대팀을 아웃 시키기란 힘든일이다.  감독의 뛰어난 용병술과 선수 개인들의 실력과 서로를 받쳐줄 수 있는 팀웍이 팀을 승리로 이끈다. 인생이 그렇지만 어디에나 복병이 숨어 있다. 다양한 야구 이야기와 함께 경영학에 대해서 배울수 있는 점이 매력적이다경영학은 마냥 어렵게만 느껴지는 학문이다. 좋아하는 야구와 함께 하는 시간이라서 나름 재미있었다. 이 책을 통해서 갖추고 배워야 할 것이 많음을 느낀다. 그렇지 않으면 난 아웃 당할테니 말이다. 인생의 홈런을 치는 기분은 어떨지 궁금하다.

나 역시 걱정이 치명적인 약점인 사람이라서 이 말에  공감이 된다. 체계적인 계획과 사전 분석등 모든것이 완벽하다고 해도 되지 않을때가 있다. 그 프로젝트가 완벽했냐고 물어 본다면 분명 거기엔 다른 문제점들이 있을것이다. 다만 내가 그걸 놓쳤다는 것뿐이다. 야구 역시 인생만큼 만만치가 않다. 야구 선수분들은 힘들겠지만, 지켜보는 입장에서는 재미있고 신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