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 - 권력의 기술자, 시대의 조롱꾼 문화 평전 심포지엄 4
폴커 라인하르트 지음, 최호영.김하락 옮김 / 북캠퍼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마키아벨리 하면 군주론이 바로 떠오른다. 지도자들이 여전히 사랑하는 군주론은 무엇 때문에 뜨거운 화두가 되었나. 마키아벨리의 어린 시절을 살펴보면 자세한 기록은 별로 없다고 한다. 베르나르도 마키아벨리는 검소했지만 교양과 교육열이 대단했던 아버지였다. 그런 아버지 밑에서 자란 마키아벨리는 제한된 교육 범위라 다양한 분야의 책을 알아서 읽었는데 위대한 고대 철학자는 그에게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권력에 휘둘리지 않으며 부패한 사회에서 나름 꼿꼿하고 가난하게 살아남은 것을 스스로 영웅이라 생각했다.

메디치가가 피렌체에서 정치적으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고 있을 때 마키아벨리는 말이나 글이 그들의 권력에 티끌만큼이라도 영향력을 주지 않았기에 쓴웃음을 지으며 내버려두었던 모양이다. 마키아벨리는 철저하게 메디치가문으로부터 외면당했다. 마키아벨리의 사상이 위험한 이유는 틀린 말은 아니지만 맞는 말도 아니라는 점이다. '성공은 모든 것의 척도다'라며 구구절절 맞는 말을 늘여놓는다. 다소 위험한 발언이 담겨있다. 개인의 삶을 국가를 위해서 충분히 말살시킬 수 있음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정치인들은 이 이야기를 들으며 많이 껄끄러웠을 것이다. 실제로 그때 메디치 가문의 정치권력을 통해 그런 일들이 비일비재했으며 그것이 자명한 사실임을 마키아벨리가 대놓고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마키아벨리가 지금 시대에 나온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회사에서는 만년과정을 꽤차고 있을 것이고 국가공무원이라면 어디 지방으로 좌천되었을 것이다.

국가는 강력한 권력을 위해서 전쟁을 원하고 있다. 이 또한 틀린 말이 아니었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말 또한 틀리지 않았다. 공산주의 체제에 이어서 민주주의 그리고 자본주의 역시 멸망의 길을 내딛고 있다. 지금에서 군주론이 가져다주는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마키아벨리가 정신이상자가 아닌 사회가 지나친 것이다. 권력을 가진자나 그것을 나눈 자가 행하였던 모든 행태를 보면 그것을 용납한 사회나, 권력에 담가진 사람들이 정상은 아니다. 예나 지금이나 성공하면 혁명이고 실패하면 반란이다.

이책은 잠시나마 마키아벨리가 정치권력에 발을 걸칠 뻔한 일부터 시작된다. 종교의 부패는 사회를 혼란케 하고 그로인해 권력자가 화형에 처해지고 메디치 가문의 힘이 약해졌을때 마키아벨리가 제2서기국 서기장에 오르는 일이 생겼지만 그기간은 짧았고, 메디치 가문의 정치권력은 다시 돌아온다. 이런 자리는 권력은 없고 총알받이 하기 딱 좋은 직책이다. 언제 잘려도 이상할 것도 없고 그 자리에서 나름 최선을 다한 마키아벨리에게 박수를 쳐주고 싶었다. 정치인은 누구든지 속일수 있고 자신의 속내를 감추며, 약속은 위반하라고 있는 거다 라고 뻔뻔하게 말한다. 하지만 자신의 영달을 위해서가 아니라 국가를 위한 것이라는 주장한다. 남은 날은 그나마 아버지가 남겨준 땅에서 입에 풀칠은 하고 살았던 모양이다. 사회의 화근을 입안으로 삼킨 그를 시대의 조롱꾼이라고 해야할까, 아니면 비판적인 정치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해야할까.

마키아밸리를 당대의 관점에서 이해할 때에만, 당대의 위기이자 모든 시대의 화근에 구제책을 고안해낸 탁월한 지적 아웃사이더로 이해할 때에만 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4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