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역 논어 - 2500년 고전에서 찾는 인생의 진리
야스토미 아유미 지음, 고운기 옮김 / 레디투다이브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말은 속절없다. 곧잘 공중에 흩어져 버리고 말기 때문이다. 그러니 누군가의 말이 나의 가슴에 들어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고 기억되는 것은 얼마나 귀한 일인가.(들어가는 말 중에서)

누구나 한 번쯤 논어를 읽어봐야 한다고 한다. 2500년 전 공자가 살았던 시대와 한자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논어는 읽기 힘든 책이다. 말도 건너가면 달라지는데 공자의 뜻 또한 누가 해석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다. 공자는 스스로 학문을 터득하며 고등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만나는 사람 모두를 스승이라 생각하여 모든 것에서 배웠다고 한다. 1장에서는 배운다에서 시작한다.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다르다.

한쪽씩 필사를 하면서 뜻을 음미해 보았다. 읽고 쓰다가 이해 가지 않는 부분도 있어 그냥 넘어가기도 했다. 읽는 다 해서 그 뜻을 이해했다 볼 수도 없고 진정한 앎의 길은 생각보다 어렵다. 안다는 것의 기쁨에 대해서 잠시 생각해 보았다. 알은체를 한다는 것은 쓸모없는 일이라고 하는데 찔려서 웃었다. 제자에게 공자는 어떤 사람이냐고 물어보았다고 하는데 대답하지 못했다고 한다. 책 속에서 공자에 대한 설명은 배움에 빠지면 다른 것이 보이지 않는 인물이라고 짧게 줄이고선 현실을 초월한 듯한 느낌이 든다.

군자란 무엇인가 실로 보기 드문 사람이 아닌가 싶다. 인식의 틀을 새로이 정의할 줄 안다는 것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 위기에서 그 사람의 진가가 드러나고 힘든 일을 겪지 않으면 진정 성장하지 못한다. 언제까지 성장을 멈추지 말고 계속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책을 읽으면 그 안에 답이 있긴 하지만 이 또한 자신의 결정에 따라 달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