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독의 즐거움 - 생각의 급소를 찌르는 다르게 읽는 힘
남궁민 지음 / 어바웃어북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례를 살펴보면 읽기를 머뭇거릴만한, 서가에 꽂혀있는 모습만 볼만한 책들이 많다. 이러한 연유로 이 책을 통해서 시작해야 한다는 막연한 생각을 했다. 내 앞의 어질러져 있는 일들도 어쩌지 못하고 있는 입장이라, 치운다고 해도 산 넘어 산일 것 같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선로의 끝에 도달했다면 잇는 것은 우리의 선택이라고 말한다. 어디로 향해 있을지는 아직 미정이지만 마음이 무거운 것은 어쩔 수 없다.

책장을 덮으면 '아 재미있었다.' 싶은 책이 있고 '왠지 모를 찜찜함.' 도 있고 주로 재미 위주의 책과 따스한 동화책을 읽었다. 책과 현재의 체온 차가 심하다 여겨져서 이왕이면 덜 충격적이면서도 여전히 희망적인 책을 읽고 싶었다. 현실 회피이겠지만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서 집중하다 보면 정신적으로 몹시 힘들다.

지금까지 기후와 경제에 대한 이야기와 1경 굴리는 회장님이 그렇다면 그런 것이고부터 시작해서 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며 그토록 목이 터져라 외쳐대서 신재생에너지가 답인가 했다. 전기자동차가 그리도 좋다더라, 그런데 어라? 뭔가 문제가 심각하다. 탈탄소를 하려면 중국이 태양광 패널을 꽉 잡고 있다네. 전기자동차도 스마트폰에도 희귀금속이 필요하다.

태양광이 신재생 에너지로서 각광받고 있고 이젠 원자력을 대체할 만한 전기에너지원이라고 생각했다. 태양광 발전에는 희귀 금속인 인듐과 갈륨이 필요하다. 이런 희귀물질은 지구에서는 말 그대로 희귀하게 채굴이 가능한 모양이다. 거기다 갈륨을 얻기 위한 과정을 읽고 깜짝 놀라고 말았다. 바위 50톤 깨고 거기서 독성 화학물질과 물을 여러 번 섞어서 정제해 그 물을 아무 데나 버린다. 거기다 추가로 방사능 물질이 체르노빌의 2배라고. 그래서 1980년대까지는 미국이 장악하다가 '최악'이라서 중국으로 넘겼다. 책에서 말한대로 더러워서 못해먹어. 중국은 그걸 받고 우리나라 깨끗하자고 남의 나라 사람 죽든 말든 상관없다? 인가.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이 중국의 권력이 된다. 뭐가 신재생에너지고 탄소 배출을 하지 않겠다는 건지. 용의 아가리에 머리를 들이박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그토록 각자 열심히 살면서도 남의 논의 수확량을 질투하는 것일까? 그로 인해 지금의 성장도 있었겠지만, 그로 인해 불행하기도 하다. 세계에서 가장 우울하고 불행하고 자녀까지 부담스러운 자칭'G8'이 한국의 성적표다.(99쪽) 우리의 상황이 이렇다고 한다. '하루하루 소중하게 생각하며 이런 것이 행복이다.'라고 하는 것은 그저 그런 주문 같은 위안인 걸까. 책에서 추천하고 있는 <좋은 주식 나쁜 주식>에 대해서 읽어봐야겠다. '누가 주식으로 대박났다더라.'의 소문으로 인해 개미투자자들이 여러번 죽어나갔다. 우리는 잡초에게 배워야 한다. 잡초의 수가 그토록 많은데 살아남은 것은 별로 없다. 눈에만 많아 보이는 착각이다. 잡초는 잠시 햇빛이 비췄다고 해서 나오는 법이 없다. 확실하게 날씨가 좋아져야 얼굴을 들이민다고 한다. 강해서 살아남은게 아니라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했기에 살아남았다. 운동이든 주식이든, 트레이너를 잘못 만나면 건강 잃고 정신도 잃을 수 있다. 건강을 위해서 좋은 정보와 운동할 수 있는 트레이너를 만나야 한다. 약먹고 근육 키운다고 한들 잠시 좋으면 좋을수도 있지만, 잠깐 좋자고 오래 나쁠수는 없으니까.

미국의 빅테크 산업, 신뢰가 곧 화폐가 되는 세상, 디지털 통화 알다가도 모를 세계의 변화는 앞으로 어디로 가야하는지. 이런 세상 만들려고 부자들이 열심히 우주를 챙긴 모양이다. 희귀 물질이 우주에는 아주 많다고 한다. 우리도 삽들고 쫓아가야 하나. 저자의 말처럼 '환경오염' 이라는 비용을 제대로 계산하지 않은 우리의 오만이고 착각이다. 가끔 비판적인 스스로를 생각하며 좋은점도 참 많은데 그중에서도 꼭 저걸 집어내나, 성격이 문제인가 생각했다. 책을 읽으면서 그것은 살아남기 위한 생존수단임을 깨달았다. 무조건 낙관적인 것 보다는 확실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위에 낙관을 덮어줘야 한다. 바로 문제점을 찾아내는게 나쁜것만은 아니라니, 좋은쪽으로 생각하기로 했다. 지금 현실의 문제점을 바로 직시하기엔 알면 알수록 무섭다. 어떻게 해야 좋은걸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