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고 싶은 수학
사토 마사히코.오시마 료.히로세 준야 지음, 조미량 옮김 / 이아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사위 놀이도 빙고의 게임도 다 나름의 법칙이 있다.


공식을 외우고 그것을 대입해서 풀었던 수학에서 벗어나 퍼즐 놀이나 낱말 풀이를 하듯이 이 책은 수학을 놀이처럼 만날 수 있다. 처음에 대뜸 저울이 등장한다. 저울 위의 너트는 전부 몇 개일까? 하는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쉬운 문제라서 금방 풀 수 있다. 하지만 이 문제를 글로 낸다면 아마 어려워질지도 모른다. 수학이 처음 어려웠던 것은 글을 알면서도 문제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던 점도 한몫했다. 우리 집에서 철수네 집을 방문할 때 거리와 기타 등등의 문제가 있는데 실은 그림이 그려져 있음에도 이때부터 수학에 조금씩 겁을 먹기 시작했던 것 같다. 즐거운 친구네 집 방문에 이런 문제가 있을 줄은 몰랐다. 접근의 방식이 잘못된 것이 아닐까 싶다.


퍼즐 놀이나 숨은 그림 찾기나 주사위 놀이를 즐겨 하는데 이런 과정에서도 수학의 공식이 숨어 있다. 책에서는 우리가 주로 놀이를 할 때 사용하는 것 위주로 수학의 공식을 쉽게 설명하고 흥미를 주고 있다. 수학에 창의성이나 생각의 사고의 전환에서도 큰 몫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공식이 전부가 아닌 생활에서의 수학이 이런 것을 알려준다. 수학을 어렵게만 생각해서 그렇지 우리가 사용하고 접촉하는 모든 것에는 수학적 요소가 작용하고 있다.


'남의 떡이 커 보인다,'라는 속담처럼 먹는 것을 정확하게 나누기 위해서 최적의 방식에도 수학을 이용한다. 민감하지 않은 사람도 있지만 민감한 사람으로서 정확하고 투명하게 나눠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길이 지름길일까?'에 도 수학이 적용된다. 지도상으로 보면 복잡할 수도 있지만 복잡한 것을 단순화시키는 것이 바로 수학의 매력이다. 그러고 보면 내비는 복잡한 길 안내를 우선으로 한다. 단순하고 바로 가는 길보다는 애매하고 복잡하게 가란다. 초행길은 덮어두고 내비의 말을 듣고 가지만 한두 번 다녀보면 내비를 확 때려주고 싶다.


비교하기 어려운 것은 비교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 수 있는 것 또한 수학의 장점이다. 아마도 어렵게만 생각해서 수학이 싫었던 게 아닐까 싶다. 공부를 하다가 혹은 머릿속이 복잡할 때마다 한 문제씩 풀어가는 즐거움이 있다. 수많은 사람들 중에서 그중에 누가 더 키가 큰지, 작은지를 대뜸 눈으로 확인해 보고 싶을 때가 있다. 이 문제도 어렵지 않고 간단하게 풀 수 있다. 이 책은 생활 속에서 수학을 엿볼 수 있어서 인도에 깔린 타일을 보고도 반가울 수 있다. 모든 것을 책에서처럼 수학의 공식으로 엿보기 시작한다면 더 이상 복잡한 수학이 아닌 친숙하고 반가운 수학이 될 듯하다.


< 이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