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면 써먹는 고사성어 ㅣ 인문학이 뭐래? 4
햇살과나무꾼 지음, 오승민 그림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21년 3월
평점 :
고사성어란 옛날에 있었던 일에서 만들어진 말을 뜻합니다. 곧 어떤 상황에서 생겨나 오랫동안 널리 쓰이면서 속담이나 격언처럼 굳어진 표현입니다.(머리말 중에서)에서) 고사성어에는 그 말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가 있다. 결초보은에 얽힌 사연을 읽으니 그 말뜻이 더욱 와닿았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죽어서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는다는 뜻이다.
한자의 역사나 만들어진 원리에 대해서 알게되면 어렵지 않게 배울수 있다. 한문은 상형, 형성, 회의문자등 만들어지는 것에 따라서 뜻과 의미가 달라진다. 평소에 자주 쓰거나 듣는 말인데 들으면서 저 말이 무슨말인지 모르고 넘어간 던 적이 있을 것이다. 고사성어와 관련된 이야기도 읽으면서 그 유래나 뜻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가는 기회가 되었다.
원래 미봉책(彌縫策)이란 말은 당장의 어려움을 벗어나기 위한 해결책이라는 의미가 아니였다. 미봉책의 유래를 읽어보면 실은 필요한 부분을 완벽하게 보충해 빈틈없이 만드는 것을 말한다. 처음가 다르게 뜻이 시대에 따라서 변화되기도 한다. 수천년 전에 살았던 사람들의 지혜를 고사성어에서 빌려올 수 있다. 그와 비슷하게 쓴 뜻이 있어서 바꿔가면서 말할 수도 있다.
소탐대실(小貪大失)은 작은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어 버린것을 뜻한다. 삶에 있어서 무엇을 주의하고 조심해야 하는지도 고사성어를 통해서 배울 수 있다. 와신상담은 뜻을 이루기 위해서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딘다는 뜻이다. 춘추 시대 오나라 왕 부차와 월나라 왕 구천의 이야기다. 고사성어에는 재미있는 옛 이야기가 많다. 그것을 통해 역사의 지식뿐만 아니라 앞으로 삶을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다. 새옹지마라는 말처럼 나쁜 것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듯, 삶은 나쁨과 좋음으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살아가면서 어떤 상황에 부딪칠지 모른다. 그럴때면 고사성어를 통해서 배운 것에 도움이 되는 것이 있을 것이다.
인문학은 과거의 역사를 배우고 알아가며 생각지 못하게 삶의 지혜를 배운다. 지식이 힘이 되는 이유다.
<이책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