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미학 1 : 메이드 인 코리아의 기원
최경원 지음 / 더블북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수학여행에 필수 코스였던 박물관에서 본 유물들은 그저 역사적 유물이였다. 흥미롭고 궁금했던 점에 비해서 딱딱한 설명이 아마도 유물에 대한 관심을 거둬가지 않았나 싶다. 특유의 냄새가 박물관 자체가 박제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었다.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생활양식에 배우고 외우고 하는 것도 지루한 공부였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를 빼놓을 수 없다. 저자는 디자인적인 면모에서 우리의 유물에 대해서 설명해 주고 있어 도구의 사용성에 대해서 직접 느껴볼 수 있다. 주먹도끼는 시대 맞춤 도구라고 할 수 있겠다. 책에서는 주로 바닷가 주변에 살던 사람들이 사용했다는 빗살무늬 토끼의 편리성에 대해서도, 청동검의 아름다운 곡선미와 맞서는 단단하고 날카로움에 대해서 기술력뿐만 아니라 거대 문명이 발달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삼한시대의 투박한 토기 모양과 토기의 뚜껑에 있는 새 모양을 살펴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 맞는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유물로 그때의 상황을 유추하기에는 어떤면에서는 지식이 얉다. 이책에서는 그저 박물관에서 잠자고 있는 유물에 대해 다른 추리를 하게 만든다. 고구려의 일반적인 벽화의 투박함을 지나서 강서대묘의 사신도에 이르면 고구려 문화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벽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현무, 청룡, 백호, 주작이 갖고 있는 아름다움에 대해서 묘사해준다.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창조물을 그려내기 위해서 뛰어난 실력이 필요하다. 재미있고 놀라운 유물은 고구려 시대에 휴대용 철제부뚜막이 있었다는 점이다. 철제부뚜막의 목 부분에 파팅라인이 있는데 이부분이 중요하다. 지금으로 비유하면 붕어빵을 찍어내는 형틀이 위아래로 만나는 부분이 파팅 라인이다. 즉 형틀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이라는 것이고 대량 생산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고구려시대때 철의 풍부함은 삶의 편리함과 문명의 발달을 보여준다. 그 다음은 백제인데 금동대향로를 빼놓을 수 없다. 금동대향로에는 100여개의 캐릭터들이 들어 있으니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담겨져있을까 싶다. 향로 하나에도 이정도의 예술혼이 담겨져있는데 그 외에 다른것은 오죽할까 싶어 아쉬움이 크다. 우리의 전통적이고 아름다운 유물들은 자신의 기지를 생활속에서 활짝 피어냈다. 용도를 가지고 생활에 실용적이였으며 더할나위 없이 멋지기까지 하다. 기능적이며 아름다운 유물이야 말로 현실에서도 통용되는 디자인일 것이다. 




<이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