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말 - 2,000살 넘은 나무가 알려준 지혜
레이첼 서스만 지음, 김승진 옮김 / 윌북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세계 곳곳에서 2,000살 넘은 생물을 촬영하러 다녔다. 4만 3,600살 된 로마티아를 찾으러 타즈마니아에도 갔는데 이 관목은 자기 복제 방식으로 번식하는 관목이라고 한다. 지금 멸종위기라고 한다. 환경이 바뀌면 몇시간 버티지 못하고 죽어 버린다. 아이러니하게 이 생물은 이론적으론 불멸이지만 환경에 적응을 못해 멸종 위기인 생물이다. 사람도 스스로 자기 복제가 되는데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어떤 일들이 벌어졌을까. 하루살이처럼 살아갔을지도 모른다. 


세계 곳곳을 다니며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했다. 온갖 오지를 다니면서 힘들게 이천살 넘는 생물들을 만나는 시간이 저자는 즐거워보였다. 팔이 부러져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서 과목을 보기도 전에 돌아가는 일도 있었다. 이때는 좀 위태로웠던 것 같다.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면 팔을 쓰지 못할 수도 있었다. 이천살 먹은 뇌산호를 만나기 위해서 잠수하다 불산호에 쏘인 사건도 있었다. 집으로 돌아왔을때 얼굴까지 퉁퉁 부었다고 한다. 불산호는 자신을 건드린 녀석에게 들러 붙어서 살 수 있다고 한다. 대단한 녀석이다. 


판도는 나이가 8만살로 나무가 각자 서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가 한 그루의 나무라고 해서 놀랐다.

판도는 사시나무 무성 번식 군락인데 하나의 거대한 뿌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나무(총4만 7,000개가 있다)는 하나의 뿌리에서 나온 줄기들이다. (101쪽) 실로 거대하다. 이처럼 거대한 녀석이 있는가 하면 미미해서 눈에 잘 띄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들 최소 2천살이상 세상을 버텨온 위대한 조상님이다.


야레타는 바위 위에 뭉쳐진 이끼처럼 보인다. 야레타는 작은 잎들이 엉켜있는 수천 개의 줄기로 이뤄진 관목이라고 한다. 고도가 4,500미터에서 살기 때문에 야레타를 보기 위해서는 어지러움을 참아야 했다. 야레타는 불에 잘타서 연료로 쓰여 생명에 위협을 받고 있다고 한다. 오랜 세월을 버티었는데 사람들의 터무니없는 짓으로 불타거나 수명이 다하기도 한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생명체들은 과거의 기념이자 기록이고, 현재의 행동을 촉구하는 목소리며, 미래를 가늠하게 해주는 지표다. (15쪽) 오랫동안 지구상에서 살아남은 생명체들도 얼마나 더 살아갈 수 있을지, 곧 멸종위기에 처할지 알 수 없다. 소멸하는 것에 대해 더욱더 관심을 가져야 하고 걱정해야 할 때이다. 




<이책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