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도 한 번쯤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큰그림 편집부 지음 / 도서출판 큰그림 / 201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정자체 연습부터 시작한다. 정자체 글씨체가 이쁜데 잘 따라쓰기가 어렵다. 글씨를 그리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14쪽 정자체 자음과 모음 쓰기 연습>
그 다음은 크기에 따라 사자성어 쓰기 연습을 한다. 크게 썼다가 작게 쓴다. 글씨를 크게 잘 쓰면 작은것은 문제없다. 다만 글씨엔 문제가 있다. 잘 써지지 않는다. 그날따라 마음이 삐뚤빼뚤한지 자꾸만 삐뚜름하게 써진다. 사자성어 공부하면 가나다 순으로 나오는데 가렴주구, 각골난망, 경국지색, 남가일몽등 친숙하다. 그렇지만 글씨체만큼은 쉽지 않다. 균형이 잘 이루어지게 쓰는 것이 쉽지 않다. 글씨연습하면서 오랜만에 뇌가 원활하게(많이쓴) 움직이는 듯한 기분이 든다. 요즘 손글씨 쓸일이 거의 없는데 '시'도 따라 써보고 하니 재미있다. 한글 언제 떼냐며 뒤늦게 배우신 어머니께도 선물해드리면 좋을듯 하다. 한자 한자 쓰면서 '시'도 읽고 따라서 해보면 시간이 금방 가버린다.

<22쪽 정자체>
그 다음엔 윤동주 시인의 시를 따라서 써본다. 오랜만에 시를 읽으면서 글씨체를 따라서 써보니 새롭다. 한참전에 친구에게 받은 편지에서 씌여진 시가 생각이 났다. 그때 당시에는 감성 넘치는 소녀시절이였음에도 불구하고 감성은 어디에 있었는지 모르겠다. 시는 그저 시로 받아들여졌는데 친구가 써준 시가 생각났다. 그래서 추억이 스멀스멀 밀려왔다. 아는 시도 있고 종종 몰랐던 시도 있었다. 그때는 몰랐던 절절함이 시에서 느껴졌다. 아마도 나라 잃은 설움이 시에서 고스란히 느껴져서 그런가보다. 그때는 열심히 외우기 바빴는데 말이다.

<26쪽 정자체>
귀여운 참새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하셨나보다. 그저 부러움이 들었는지 모르겠다. 글씨체는 참새 스텝보다 더 날아다닌다. 오랜만에 써보니 한참을 연습해서 써야겠다. 글씨 연습만 하면 재미없었을 텐데, 시를 읽으며 쓰는 거라서 더 좋다.
그 다음은 미생체를 위의 단계별로 연습해 본다. 글자에서 시작하여 사자성어 몇개와 시를 써본다. 시 옆장에 완성하기에 빈공간이 있어서 그곳에 같은 시를 써보거나 하면 좋다. 예전 편지지처럼 그림이 그려져 있다. 그 다음은 캘리서체 은영체 연습이다. 무심한 듯 날리듯이 쓰는 글씨체로 멋지다. 생각보다 잘 날아가듯 고루 써지지 않는다.
<이책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