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育兒’ 우리의 미래]맡겨도 불안하다
[동아일보]
《“학교 가기 싫어요.” 올해 서울 송파구의 한 초등학교에 들어간 미정이(7)는 “학교가 재미없다”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닌다. 학교에서 배우는 학과목 대부분이 이미 유치원에서 다 배운 내용이라는 것.》

어머니 서모씨(35)는 “유아기가 초등학교의 준비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인 것 같다”며 “이것저것 가르친 게 잘못된 것이었는지 혼돈스럽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의 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승준이(4)는 오전 8시∼오후 2시 정규과정인 토론 노래수업 외에도 영어 수학 과학 등 요일별 과목수업과 웅변 미술 체육 등 특기수업을 배운다.

어린이집 박모 교사(29)는 “부모들의 요구로 과목이 하나 둘씩 늘기는 했지만 아이 20명당 교사 1명이 배정돼 있는 현행법상 실제로 제대로 가르치기는 힘들다”고 토로했다.

▽질적 수준을 높여야=이제는 육아시설의 양적 확대 못지않게 질적 수준을 올려달라는 부모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설의 안정성과 교사의 수준향상 등이 주된 요구사항. 특히 전문가들은 영유아 교육내용에 대한 논의와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장에서는 아직도 주입식 교육이 많은 데다 학부모들의 잘못된 조기교육열 때문에 영유아가 아예 ‘학생’이 돼 버린 지 오래다.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황윤옥 사무총장은 “시스템과 교육내용이라는 ‘두 박자’가 잘 맞아야 부모들도 안심하고 아이를 더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국검토단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육아교육 현장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개개인의 특기개발에 주안점을 둔 차별화된 교육이 아니라 나이나 시설에 상관없이 집단위주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

특히 “주입식 교육인 학원수업은 장기적으로 아이들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게 만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육시설 앞에는 정규수업이 끝나는 오후 2시경이면 태권도 영어 발레학원 등의 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다. 미취학 아동 대부분은 보통 1, 2개 학원에서 수업을 더 듣고 다시 어린이집에 와 부모님이 데려가기를 기다린다. 아예 전문교사를 채용해 시설 내에서 특강을 하는 곳도 많다.

교육인적자원부가 2002년과 올해 두 차례 실시한 ‘유아의 일상생활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특별과목을 지정해 교육하는 보육시설은 전체의 90%. 정규과목 대신 특강을 넣는 경우도 65%였다.

이화여대 유아교육학과 이기숙 교수는 “조기교육을 시키는 학부모가 전체의 86%나 된다”며 “대상 연령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며 우려했다.

한국여성개발원 유희정 연구원은 “영유아 교육의 폐해는 심각하다”며 “인성과 감성계발이 중요한 유아기에 학원식 교육으로 암기력 학습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