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ㅣ 우리시대의 논리 2
하종강 지음 / 후마니타스 / 2006년 5월
평점 :
권리를 위한 투쟁, 전태일 평전, 권리를 상실한 노동자 비정규직의 연장선에서 읽으면 좋을 책이다. 노동운동에 관해 관심이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비판적인 시각은 가지고 있는 편이라 책을 이리저리 접할때마다 읽어보는 편인데 그러다보니 조금 식상한 면도 없지않아 있었다. 하지만 노동자들의 현실은 언제나 손바닥을, 가슴을 뜨겁게 한다.
저자인 하종강씨의 강의도 들었다. 생각보다 저자는 재미있고 위트있는 분이었다. 나를 웃게도, 울게도 하시며 노동시장의 현실에 대해 직시하도록 해 주셨다. 그에 반해 책은 조금 더 이성적. 책을 펼쳐보자. 귀찮아서, 페이지는 명시하지 않았으며 급한마음에 단어 몇개만 옮겨온 판이라 재구성된 텍스트는 책의 것과 많이 다름을 미리 이야기해둔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시위현장에서 폭력적 발언을 하거나 행동을 함으로써 도마위에 오르는 노동자가 많다. 보도의 방향이 편향된 탓도 있지만, 노동자 개인의 인품보다는 상위의 체제를 보지 못하는 좁은 시각 탓도 있을 것이다.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노사관계의 안정은 꾸짖는 것으로 초래될 일이 아니다. 임금인상과 복지향상이 우리경제의 구조적 악순환을 개선할 것이다.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그리고 무엇보다 새롭게 다가왔던 것. 시민운동과 노동운동은 만나야 한다. 그러나 시민운동은 아직 계급투쟁이 아니다. 저 먼 옛날 유럽에서 일어났던 수많은 유혈 혁명들은 노동자들로부터 시작된 것임을 다시 생각해보며. 앞으로의 노동운동이 나아갈 길을 고민해봤다.
또하나. 앞으로 나는 미녀여교사 즉 공무원이 될 것이기에 공무원의 파업에 대한 부분도 유의미하게 다가왔다. 나라의 녹을 먹는 사람들이, 우리 세금으로 낸 월급을 받는 사람들이 파업이라니 웬말이냐- 하는 사람들의 빈축에, 저자는 공무원에 대한 시민들의 사용자의식을 비판하며 꼬집는다. 공무원이기 이전에 그들도 노동자이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권리가 지켜져야 시민들의 권리도 지켜질 것임을 알아야 한다고 한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노동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기실 우리는 자본가가 아닌 이상 노동자이다. 국가정체성의 측면에서 "기득권"과 "역사를 바로잡으려는 세력" 중 어느 편에 서는 것이 사회 전체의 정의를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것일지 각자 생각해보도록 하자.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감명깊게 읽은 부분이 있다면 3장, "노동운동을 용납하지 못하는 사회". 학교 교실과 가정에서는 우리 모두 부자가 되라고 가르치고 있으며 노동운동은 사회부 사건 기자가 취재하고 있고 따라서 모든 사람들은 노동운동이라는 단어를 두려워하게 되었다. 노동자들은 사실상 과거보다 온건해졌으나 기사는 점점 난폭해지고, 그들에 대한 비난은 사소한 언동에 대해서조차 거세다. 손석춘씨가 연대 강연을 가서 자신이 노동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손들어보라고 했을 때 거의 대부분이 손 들지 않았다고 한다. 그럼 뭘 할것이냐는 질문에 대부분은 취업이라고 했고, 손석춘씨는 연대생조차 노동자에 대한 인식이 이렇게 부족함을 개탄하셨다. 반면 프랑스에서는 중학교,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부터 노동에 대해 언급하며 심지어 단체교섭까지도 가르친다 하니, 자본가들의 시각으로만 쓰여지는 한국 교과서의 현실이 새삼 부끄럽더라. 다른말이지만 앞으로 개정될 초등학교 1학년의 즐거운생활 초안을 본 결과 대부분의 아이들이 사시이며 소풍 나온 여교사는 초미니 청치마를, 체육교사는 청바지를, 학생들의 간식은 샌드위치임을 거세게 비판하는 신문기사를 보며 대체 이 나라 교육 지사자들은 제정신인지 의심하게 되더라 휴 ..
암튼 마무리하자. 앞으로의 노동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참여경영이 올바른 해답일것이라 저자는 제안한다. 노사갈등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노동의욕까지 증가시킬것이며 기업측면에서도 경쟁에서 살아남기 좋을 것이란 희망찬 미래를 제시하는 한편 어떻게 참여경영을 만들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대답은 생략한 채 책장을 덮어야만 한다. 자, 해답을 이 책 안에서 찾지 못했다 해서 좌절할 수는 없지. 그 해답을 손석춘씨의 강의에서 웃기게도 짧은 한줄로서 들었다. "그러한 법을 만들면 되지요." 그러면 선생님, 그러한 법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 까요? "대부분의 의석을 진보적인 사람들이 채워 나가면 됩니다." "법이라는 것이 그만큼 큰 힘이있습니다." 아. 정치든 경제든 어느쪽으로 나가든, 대답은 한 쪽으로 몰리게 마련이다. 몇백년 전 마르크스가 했던 말을 패러디하며 마무리지어보자. 만국의 20대들이여, 단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