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 개정판
홍세화 지음 / 창비 / 2006년 11월
평점 :
그저 인정받는 유명한 책, 좋은 책, 추천받고 있는 책이라면 꼭 읽어줘야 할 것 같고 안 읽으면 도태되는 느낌, 뒤떨어지는 느낌을 지울 수 없어 어린 나이에 서둘러 사다 읽었었고 나는 행간의 의미는 읽지 못한 채 그저 이야기를 받아들이기만 했었다. 그런 주제에 나는 이 책을 읽었다고 그나마 시대의 지성의 발끝을 조금이나마 따라가고 있다고 뿌듯해 했었다. 나는 얼마나 어렸던가.
똘레랑스의 의미는 알았으나 그것이 이 사회에 필요하다는 저자의 이야기는 알았으나 그것을 충분히 내면화하고 절절히 체감하지는 못했다. 아무래도 한국 사회의 현실이 어떠한지, 이 시대에 필요한 대안은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고찰하지 못한 상태에서 그저 급하게 책을 읽어내려갔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다시 읽는 이 책은 그저 망명자의 일대기에서 벗어나 조금 더 넓게 세세히 살펴보며 대화 할 수 있었다. 그렇다고 지금은 이 책을 온연히 흡수했느냐 하면 그건 또 자신 없다. 지금 내 나이, 내 능력 안에서는 최대한으로 읽었다고 생각하지만 또 나중에 다시 읽으면 다른 의미가 파악되곤 하겠지, 이래서 좋은 책은 재독 삼독을 권유하는가보다.
몇 개의 밑줄을 쳐 보자.
 |
|
|
|
뻔뻔스러울 정도로 자기의 권리를 주장하지만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멈추는 프랑스인.
|
|
|
|
 |
 |
|
|
|
상대와 다른 견해라면 존중하고 받아들인 다음 논쟁을 하여 설득하려고 하나, 한국에서난 잣대에서 어긋나면 미워하고 증오한다.
|
|
|
|
 |
 |
|
|
|
공권력의 간섭을 받기 시작하여 그에 따르다 보면 자율의 폭이 줄어들고 따라서 똘레랑스도 버리게 되는 위험을 알기 때문. 똘레랑스는 개인이 권력에 요구하는 것이지 권력이 개인아니 사회에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권력에는 역사에 대한 책임만이 요구된다. |
|
|
|
 |
한국사회에서 똘레랑스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까 하는 점에선 약간의 자신감이 상실된다. 이러한 국민적 의식이 성장하기 위해선 교육에서부터 가정환경, 습관, 사회분위기까지, 바뀌어야 할 것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 더군다가 요즘은 언론도 제 역할을 다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대 국민적 세뇌가 쉽사리 발견되는 현실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것은 내가 교육자로서의 길을 걷게 될 것이기 때문이며 한때 네티즌으로서 하나의 촛불이었기 때문이일 것. 아직 우리 젊은 10대들은 깨어있으며 때묻지 않은 순수한 열정을 지니고 있다. 나는 제발 그들이 나와 같은 세대들의 전철을 밟지 않고, 깨끗하고 청아한 이대로 자라주었으면 한다. 언론사수를 외치는 그들에게 희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