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긴 잠이여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0
하라 료 지음, 권일영 옮김 / 비채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이지를 넘기는 손에 하드보일드가 묻어나다 - 안녕, 긴 잠이여 _ 스토리매니악

 

늘 느끼는 거지만, 소설에 대한 리뷰 중에 제일 쓰기 힘든 장르가 바로 '하드보일드 소설'이다. 하드보일드에 대한 정의도 모호한 데다가 딱 떨어지게 '이거다'하는 포인트를 잡기도 어렵다. 무엇보다 소설 전체를 설명하기도 꽤나 어렵다. 내가 느끼기에 하드보일드 소설은 구성이나 스토리 혹은 캐릭터가 아닌 '분위기'로 모든 것을 말해주는 소설이기 때문이다.

 

하드보일드 소설은 다른 장르 소설, 예를 들면 추리 소설이나 스릴러 소설과는 조금 다른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마초적인 캐릭터, 낮게 깔린 무거움, 조금은 음울한 공기까지, 추리와 스릴러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런 분위기의 특성은 다른, 독특한 복합체다그래서, 작가가 말한 하드보일드가 너무 와 닿는다. "에게 있어 하드보일드는 오직 문체文體의 문제입니다."란 말이 제대로 다가온다.

 

이 소설 <안녕, 긴 잠이여>는 작가가 말한 문체, 그리고 하드보일드만의 분위기가 너무나 잘 살아 있는 소설이다. 일 년 넘게 떠나있던 탐정 사무소에 돌아온 '사와자키', 바로 맞닥뜨린 묘한 '자살' 사건에 대한 의뢰, 이 사건을 짚어가는 과정의 이야기가 추리와 스릴러의 재미에 하드보일드만의 분위기를 잘 얹어 놓을 느낌이다.

 

이야기 자체는 참 다양한 흥미를 유발한다. 의뢰인 누나의 사망이 자신인가 타살인가에 맞춰 이야기가 진행되는가 싶더니, 고교야구의 승부조작에, 한 가문의 사람과 명예에 대한 고집으로, 그리고 동성애라는 문제까지 거치며, 그야말로 흥미진진함을 갈수록 증폭시킨다.

 

실마리를 잡았다 싶으면 분화하여 또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이것이 뭉쳤다 흩어졌다를 반복하며 지루할 틈 없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결말이 드러났다 싶으면 어느새 뿌연 안개가 연막을 드리우고 어느 정도 예상하였던 결말을 뒤집는다. '사람'의 인생이 만들어내는 다양함이 이야기 자체에 고스란히 녹아 있어, 이처럼 다양한 어지러움을 양산해내는 것 같다.

 

앞서 말했듯 이런 이야기의 재미에, 하드보일드 소설만의 분위기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가벼움 없이 무거운 진지함을 가지고 있는 '사와자키'라는 캐릭터, 그가 사건에 접근하는 태도와 방식 그리고 관련자들과 어우러져 내는 모든 분위기가 그야말로 하드보일드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하드보일드 소설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할 수는 없지만, 이것이 하드보일드 소설이다라는 것을 말 그대로 느껴볼 수 있는 체험적 정의를 할 수 있는 소설이다.

 

인생이란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그 이야기에는 끔찍한 사건도 불행한 결말도 있다. 이 소설에서는 하드보일드의 매력을 지닌 주인공을 통해 그 인생의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다. 너무나 분위기 있게, 너무나 매력적으로...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2053759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웬수 같은 이웃집 탐정 이카가와 시 시리즈
히가시가와 도쿠야 지음, 신주혜 옮김 / 지식여행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유머와 미스터리 그 오묘한 조합 - 웬수 같은 이웃집 탐정 _ 스토리매니악

 

미스터리 소설이냐, 코믹 소설이냐! 읽을 때마다 이도 저도 아닌 것 같으면서도, 또 묘하게 이것도 맞고 저것도 맞는 것 같은, 사람 헷갈리게 하는 소설이 돌아왔다. '히가시가와 도쿠야' '이카가와 시 시리즈', '웬수 같은 이웃집 탐정'이다.

 

이 시리즈는 여태 출간 된 책들은 다 보았는데, 이번 책도 그 입담과 오묘한 미스터리성은 여전하다. 문제를 만드는 것인지 해결하는 것인지 모를 탐정 '우카이', 집주인인지 조수인지 분간이 안가는 빌딩 오너 '아케미', 이번 시리즈에서는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는 탐정 조수 '류헤이', 여전한 탐정 트리오가 다섯 가지 사건을 해결한다.

 

하나도 아니고 다섯 개의 사건을 해결하다 보니 어수선한 감도 없지는 않지만, 연작 단편을 읽는 듯 깨알 같은 재미가 있는 사건들이 이어진다. 솔직히 사건 자체는 이런 사건이 일어날 수 있을까 싶은 것도 있지만, 예의 그 유머로써 모든 의심을 덮어버리는 듯 하다.

 

이번 소설에서는 특히 그 유머가 전면에 배치 된 듯 한 느낌이다. 전편보다 더 능청스러워진 탐정, 전편보다 더 오지랖 넓어진 오너 언니,전편보다 더 멍청해진(?) 탐정 조수까지, '제대로 웃겨 보자'란 캐치프레이즈를 달고 나왔나 싶을 정도다. , 이 시리즈는 이런 깨알 유머를 보는 재미에 보는 것이기에, 한 편으론 더 반갑기도 하다.

 

이번 작품들에선 미스터리적 재미가 조금 아쉽기는 하다. 살짝 짜맞춘 듯한 느낌이 드는 설정도 있고, 조금은 억지스런 설정의 미스터리도 있다. 냉정히 파고 들자면 미스터리 소설이라 할 수 있을까도 싶지만, 막판에 등장하는 우카이의 문제 해결과정은 역시 미스터리 소설이구나..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이번 책에선 '204호는 불타고 있는가?'란 작품은 미스터리적 재미를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이카가미 일족 살인사건'은 코믹성이 더한 작품으로 꼽고 싶다. , 읽는 사람마다 조금씩은 틀릴 수도 있겠지만, 난 그렇게 읽었다. 살인사건이란 제목까지 붙은 사건은 실상 코믹이 더해서 참 난감하게 즐겁기도 했고 말이다.

 

이 시리즈의 책들은 미스터리 소설로 보면 답 없다. 코믹과 미스터리가 적절히 배합 된 오묘한 소설로 생각하고 읽는다면 즐겁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2049998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소송 민음사 모던 클래식 65
율리 체 지음, 장수미 옮김 / 민음사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의 어두운 이면을 비판의식으로 바라보다 - 어떤 소송 _ 스토리매니악

 

상테!(Sante. 프랑스어로 '건강'을 뜻하는 말)

안녕이라는 인사말 대신, '건강'을 인사말로 주고 받는 사회가 있다. 작가 '율리 체'가 창조한 미래 세계다. 이곳에서는 건강이 최우선 가치이자 법이다. 모든 질병이 퇴치된 사회고, 위생과 청결이 사람들의 규범이다. 매일 정해진 양 만큼 운동을 해야 하고, 건강 진단을 통해 사람들의 상태를 매일 체크한다. 독과 같이 취급하는 담배는 금지의 대상이고, 불결한 세균이 있을지 모르는 강에는 발을 담그는 것 조차 금지 된다. 음식은 튜브를 통해서만 섭취하고 직접 잡은 물고기 또는 풀 등은 섭취를 금지한다. 심지어 면역 체계가 다른 사람끼리는 결혼조차 금지 된다.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이를 위해 모든 사회 규범이 만들어진 사회, 질병의 위험에서 벗어나고 건강한 삶을 보장받는 사회, 그렇다.인간이 살기엔 더할 나위 없이 좋아 보이는 환경이다. 그러나, 소설의 주인공 '미아 홀'은 이 체제에 저항한다.

 

남동생을 잃은 슬픔에 빠져 건강관리 소홀의 죄로 법정에 소환 된 그녀는 동생의 죽음 이면에 있는 진실을 알게 되고, 이를 통해 체제의 불합리함을 깨닫게 된다. 건강이라는 가치를 내세우며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체제, 마치 개인을 위해 존재하는 것 같지만 오히려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체제로 변질된 일그러진 사회다. 미아는 자신을 둘러싼 소송을 통해 이 체제가 간과하고 있는 핵심을 인식하고 과감히 그 불합리함에 맞선 것이다.

 

미아의 소송을 보며 작가가 말하려는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체제', '가치를 위해 개인의 사생활과 정보를 과도하게 들추어내는 사회'가 바로 우리 곁에 있음을 깨닫는다. 안전한 사회, 체제의 유지 등 보편적 지지를 이끌어내는 이러한 가치들을 위해 지금의 사회는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인권을 유린한다. 법의 테두리 안에 있는 것 같지만, 개인의 가치 테두리에는 반하는 이러한 현상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런 체제 안에서 순응하며 살면 편하다. 법의 철창이 우릴 보호해 주고, 안전의 유리집이 우릴 지켜준다. 그런데, 미아는 왜, 그런 체제에 반기를 든 것일까? 체제 안에서 순응하며 살면 무엇보다 편안한 삶을 누릴 수가 있는데 말이다. 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이 책의 카피와도 같은 다음의 문장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삶이란 하나의 제안이고 우리는 그걸 거부할 수도 있는 거야."

 

삶이란 개인이 선택하는 것이다. 국가가, 체제가, 그 선택을 대신하고 강요할 수 없다. 그것이 아무리 보편적으로 또는 다수에게 받아들여지는 것이라 해도 말이다. 미아 홀이 건강이라는 가치를 강요 받는 체제에서 반기를 든 것은 이를 대변하는 것이다. 체제가 잘 굴러가고 있다 해서 그 체제에 대해 비판의식 조차 갖지 않는다면, 이는 개인의 자유를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나는 이 소설을 통해, 미아의 소송을 통해, 모든 사회 특히 민주주의 사회에서 비판적 문제의식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새삼 깨닫게 되었다.

 

개인의 자유 또는 인권에 대한 억압이 정당화 되는 체제는 없어야 한다. 물론 개인을 벗어나 사회를 위해 서로간의 양보와 희생이 전제 되긴 해야 하지만, 이 모든 것은 한계선을 넘어선 안 된다. 미아가 사는 미래 사회는 이 한계선을 넘어 개인을 억압하고 있다. 그 사회에 순응하여 살 때, 그 사회의 모습이 어떤 것일지, 이 소설이 적나라 하게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이 소설을 통해 사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점검해 보았으면 한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2048880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부 러시아 고전산책 6
막심 고리키 지음, 이수경 옮김 / 작가정신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과 삶에 대한 열 가지 이정표 - 마부 _ 스토리매니악

 

내 독서량의 반은 '소설'이라는 장르에 집중되어 있다. 소설이 만들어내는 이야기와 그 안에서 살아 숨 쉬는 캐릭터의 매력은 자꾸 소설을 잡게 만든다.

 

많은 소설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거의 대다수의 소설은 인간과 삶에 대한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각자가 다루고 있는 주제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이 두 가지 요소는 소설의 틀을 이루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싶다. 명작이라는 불리는 책 중에 소설이 많고, 이 명작 소설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대부분 인간 그리고 삶에 대한 이야기다. 시간이 지나도 그 주제가 퇴색하지 않고 현재에도 대입되는 것은, 지금도 인간이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고, 삶이라는 것에 대한 고민을 멈추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 소설집 '마부' 또한 그렇다. 러시아 민중의 아들이라 불리는 '막심 고리키'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위대한 인간과, 그 인간이 어떻게 하면 더 멋진 삶을 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이 소설들에 담아내고 있다.

 

책에 담긴 10편의 이야기가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들여다 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 '탐욕', '아름다움', '희생', '원하는 삶', '사랑'같은 다양한 삶의 목표를 이루고자 살아간 사람들이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들은 삶에서 괴로워하고, 삶에서 기쁨을 느끼고, 삶에서 그리움을 느끼는 사람들이다. 그 하나하나의 욕심에 집착하면서 그들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보여주고, 우리는 무엇을 위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돌아보게 한다.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그리 쉽지는 않다. 주인공들의 삶의 궤적을 따라가면서 자신이 느끼는 바가 있어야 하고, 그들의 삶에서 주제의식을 짚어내야 한다. 문장을 읽어가는 중에는 머리가 텅 비는 것 같지만, 마지막 마침표를 봄과 동시에 가슴에 무언가 가득 차는 느낌이다. 백 년이 넘는 시간과 공간이 다른 곳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야기지만,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 충분히 통용되는 주제들이 반짝반짝 빛난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한다'라는 정답은 없다. 자신이 세워 놓은 기준이 정답이 될 수도 있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기준을 이루면 그것이 정답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개인이 어떤 삶의 목표를 세워놓는냐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 가에 따라 달라 질 수도 있다.책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삶을 보면, 자신이 어떤 목표를 따라 삶을 만들어가야 하는지 조금의 기준이나마 생기지 않을까 싶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2044255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은 서비스데이
슈카와 미나토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나도 이런날이 있으면 좋겠다. 책을 읽으면서 자꾸 부럽다. 내게도 모든 소원이 이루어지는 서비스데이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재미난 제목만큼이나 묘하게 움찔되게 만드는  표지 그림이 있는 중단편집이다.

 

나오키상 수상 작가인 슈카와 미나토는 향수를 자극하면서도 스릴과 공포를 동시에 안겨주는, 일명 노스텔직 호러의 대표작가로 알려져 있다. 올빼미 사내로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데뷔, 이후 하얀 방에서 달의 노래를로 일본 호러소설대상 단편상, 꽃밥으로 제133회 나오키상을 수상했다. 화려한 수상이력이 말해주듯 일본에서는 주목받는 작가로  급부상한 작가다.

 

이 책에는 현실과 허구가 적절히 버무려진 다섯편의 중단편이 실려 있다. 무슨 일이든 이루어지는 서비스데이를 맞은 중년남자 이야기, 범죄사건의 증거품을 모아 돌려보는 희한한 모임 이야기, 오른손만 있는 귀신과 같이 사는 프리터 청년에 대한 이야기, 붉은가재와 식은땀 쪽빼는 한판 승부를 벌이는 초딩 이야기, 그리고 자살 후  스틱스를 건너려는 청춘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하나하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야기들이다. 재미에 흠뻑 빠져 허우적 대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그 독특한 분위기에 끌려어버버하는 중에 끝장을 맞는다. 특히 '창공 괴담'이라 제목이 붙은 오른손만 있는 귀신이야기가 참 마음에 든다. 성불하지 못한 귀신 루리코는 흡사 우렁각시 같다. 그 귀신을 애처롭게 여기고 무덤덤하게 같이 사는 프리터족 구사카베씨. 그리고 귀신을 쫓아내려다 홈빡 정이들어버린 화자인 나가 만들어내는 이야기는 귀신이야기치고는 너무 따숩다. 세상에, 손이 거칠어진 귀신을 위해 오로나인 H 연고를 사다주는데 어찌 그렇게 느끼지 않을 수가 있단 말인가. 작가는 마지막을 꺽꺽 거리며 웃게 만드는 유머를 던져주며 끝내 소프트한 귀신이야기를 들려준다.

 

"근데 어때요? 루리코는 미인이던가요?"

가엾은 여인의 혼이 사라진 후, 나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남자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말을 구사카베 씨에게 물었지.

작은 눈에 눈물이 가득 고인 그가 대답해 주더군.

"흠, 글쎄...... 꽤 마니아 취향일지도 모르겠군."

-p231

 

머리가 딱딱해진다면, 그래서 머리가 슬쩍 무거워진다면, 이 책을 통해 말랑말랑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부담없이 한장한장을 넘기기에 적당한 책이다.

 

이 책으로만 작가를 평가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작가의 아주 일부분만 본 것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다음작품 또 다음작품, 작가의 문장력에 조금씩 다가가 봐야겠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1082505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