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부 러시아 고전산책 6
막심 고리키 지음, 이수경 옮김 / 작가정신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과 삶에 대한 열 가지 이정표 - 마부 _ 스토리매니악

 

내 독서량의 반은 '소설'이라는 장르에 집중되어 있다. 소설이 만들어내는 이야기와 그 안에서 살아 숨 쉬는 캐릭터의 매력은 자꾸 소설을 잡게 만든다.

 

많은 소설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거의 대다수의 소설은 인간과 삶에 대한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각자가 다루고 있는 주제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이 두 가지 요소는 소설의 틀을 이루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싶다. 명작이라는 불리는 책 중에 소설이 많고, 이 명작 소설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대부분 인간 그리고 삶에 대한 이야기다. 시간이 지나도 그 주제가 퇴색하지 않고 현재에도 대입되는 것은, 지금도 인간이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고, 삶이라는 것에 대한 고민을 멈추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 소설집 '마부' 또한 그렇다. 러시아 민중의 아들이라 불리는 '막심 고리키'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위대한 인간과, 그 인간이 어떻게 하면 더 멋진 삶을 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이 소설들에 담아내고 있다.

 

책에 담긴 10편의 이야기가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들여다 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 '탐욕', '아름다움', '희생', '원하는 삶', '사랑'같은 다양한 삶의 목표를 이루고자 살아간 사람들이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들은 삶에서 괴로워하고, 삶에서 기쁨을 느끼고, 삶에서 그리움을 느끼는 사람들이다. 그 하나하나의 욕심에 집착하면서 그들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보여주고, 우리는 무엇을 위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돌아보게 한다.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그리 쉽지는 않다. 주인공들의 삶의 궤적을 따라가면서 자신이 느끼는 바가 있어야 하고, 그들의 삶에서 주제의식을 짚어내야 한다. 문장을 읽어가는 중에는 머리가 텅 비는 것 같지만, 마지막 마침표를 봄과 동시에 가슴에 무언가 가득 차는 느낌이다. 백 년이 넘는 시간과 공간이 다른 곳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야기지만,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 충분히 통용되는 주제들이 반짝반짝 빛난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한다'라는 정답은 없다. 자신이 세워 놓은 기준이 정답이 될 수도 있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기준을 이루면 그것이 정답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개인이 어떤 삶의 목표를 세워놓는냐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 가에 따라 달라 질 수도 있다.책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삶을 보면, 자신이 어떤 목표를 따라 삶을 만들어가야 하는지 조금의 기준이나마 생기지 않을까 싶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2044255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