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히 통제된, 늘 같음의 상태
선택의 자유가 제거된 평등은 행복한 것인가 묻는다
처음 책을 접하고는 상상력에 놀라웠고 영화는 한참후에 봐서 그런가 영상으로 잘 재현해 냈으나 ˝기억전달˝ 부분이 많이 축약된 느낌이 들어 아쉽다
엔딩크레딧에 나오는 역설적인 제목의 ˝ordinary human˝ 노래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으랏차차 흙 길벗어린이 과학그림책 12
박주연 지음, 이유정 그림 / 길벗어린이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벗어린이 과학그림책 시리즈 열두번째, '으랏차차 흙'

지난해 '쿵! 중력은 즐거워'를 아주 인상적으로 읽고는 이 시리즈를 맹목적으로 좋아하게 되었다.

어른들은 당연하게 여기는 질문에 대한 답을 아이들의 눈으로 바라보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풀어낸 것이 좋았다.

그런 기대감에 이번 신작을 기다리는 동안 무척 설레였었다.



 

표지에서도 보이는 이 녀석, 얼핏 도깨비같아 보인다.

아이들과는 흙도깨비라는 별칭을 지어줬다.

이 아이에 대한 설명은 책속에 나오지 않지만,

읽다보면 아...얘가 바로 흙이구나...알 수 있다.

흙의 요정이랄까?


싹이 나오는 건 흙이 있기 때문이고, 흙에서 난 풀과 나무가 자라면 숲이 되고,

숲에서 벌레, 새, 짐승들이 한데 모여 살아간다.


흙 밑에는 뿌리가 있고, 뿌리가 하는 일, 흙 속에 사는 벌레, 짐승들도 설명해 준다.

우리가 먹는 열매들, 채소들도 다 이 흙 덕분이라는 설명도 빼놓지 않는다.



엄마, 흙은 누가 만들었어? 음...그건 원래 있는거야...라는 말 말고는 설명하기 힘든 그런 질문에 대한 대답을 책이 대신해 준다.

여기서 궁금했던 건, 전에 흙과 관련한 책에서는 부식토와 미생물이 섞인 것을 흙이라고 설명했는데

이 책에서는 아주 미묘하게 설명이 다르다.

전문가가 아닌지라 어떤 설명이 맞다고 단정짓기는 힘들지만, 검증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흙1 [발음 : 흑]

명사 
지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바위가 부스러져 생긴 가루인 무기물과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물이 섞여 이루어진 물질. [비슷한 말]  토양.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창의그림책이 아니라 과학그림책이라면 좀 더 깊이 있는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아이들은 이런 미묘한 차이를 느끼지는 못하지만.


으랏차차 흙이라는 제목이 잘 어울리는 그림이다.

땅 속에서 새싹이 돋아날때의 그 기운, 그리고 그 기운을 가지고 있는 흙을 그리 표현했나 보다.

그림과 설명 수준으로는 유아들에게 더 적합한 듯 싶다.

이전 책들이 초등저학년인 큰아이에게도 아주 좋았던지라 이번 책은 약간 실망스러운 감이 없지 않다.



 

이 그림은 '으랏차차 흙'에서 제일 멋진 장면으로 꼽는다.

모든 생명들은 흙에서 나고 흙에서 자란다는 걸 담고 있다.

흙도깨비, 흙의 요정의 평안한 모습.

조금 멀리 놓고 봐야 매직아이처럼 확~ 드러난다.

접히는 부분이 아쉽다. 원화로 보면 훨씬 멋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화, 색을 품다 - 민화 작가 오순경의 우리 그림 이야기
오순경 지음 / 나무를심는사람들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우선 책 표지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빨강에도 여러가지 빨강이 있겠지만 이 빨강은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어떤 재료를 사용하면 이런 빨강이 나올까?

(물론 이런 질문은 책을 읽고 난 후에 들었다.  민화를 그릴때 다양한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색을 낸다고 한다)

그저 곱다....라는 말로 다 품을 수 있을까?


 

책을 읽기 전 쭈욱 훑어보면서 아~ 참 좋은 책을 만났구나 싶었다.

도판이 이리 많이 들어간 책은 근래 오랜만이다.

그것도 화질이 엄청 좋은 도판이. (물론 그게 가능했던 이유는 대부분 작가 오순경의 작품들이었기 때문이겠지만)

아직 내용을 읽기전이었지만 그림들을 보며 막 흥분했더랬다.

두페이지 중 한쪽은 도판일 정도로 본문에서도 옛그림이 많이 등장하지만,

뒷부분에 갤러리를 따로 두어 텍스트의 방해 없이 오롯이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구성도 좋다.

특히 고궁박물관의 화성능행도를 기본으로 모사한 <정조능행도> 8폭은 지금까지 봐 온 그림들 중 가장 크다.

고궁박물관에서나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었던 그림인데 가까이 두고 볼 수 있다니 좋다.

등장인물만 7천명이 넘는 이 대작을 작가 혼자 그리는 과정을 상상해보니 대단하다는 말 말고는 생각이 나질 않는다.

책에서가 아닌 실제로 만나보고 싶다.  물론 모든 작품들 다~!

그 중에서도 내 맘에 제일 사로잡은 그림은 <마마>에서 등장했다는 <연화도>이다.



 


민화, 그저 옛그림에 관한 책이라고만 생각했는데 배우 이영애와 송윤아의 추천사가 써있다.

드라마를 보지 않아서 어떤 내용인지 전혀 몰랐기에 드는 의아함이었다.

알고 보니 작가 오순경은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와 <마마>의 전통화 부문 디렉터를 맡았다고 한다.

<사임당>은 대충 짐작은 갔지만 <마마>에 민화가 등장하는 줄은 몰랐다.

책을 읽는 내내 드라마를 본 사람이라면 더 생생하게 와닿았겠다는 아쉬움이 든다.

이제라도 역주행한번 해볼까나?


 


<민화, 색을 품다>는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민화들을 도구로 민화에 대한 이야기를 색, 마음, 공간, 이야기라는 네가지 주제로 풀어냈다.

대부분 작가의 작품이지만 모본으로 한 작품의 경우 원본도 함께 실은 경우가 많다.

책에서 제일 처음 만나는 작품은 <일월오봉도>이다. 임금님 뒤에 자리하고 있는 이 그림도 민화인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그건 작가의 민화에 대한 생각을 읽으면서 이해가 되었다.


p.21~22

대부분의 사람들이 민화는 그저 정식으로 그림을 배우지 못한 아마추어 화가의 작품이라거나,

이름없는 작가에 의해 제멋대로 모사된 그림이라 알고 계실 겁니다.

'민화民畵'라는 용어를 단순하게 풀면 '백성이 그린 그림'이란 뜻이니까요.

(...)

저는 민화를 '한국 전통 채색화'로 조형성과 품격 면에서 높은 예술성과 표현 기량을 가진 전통회화로 이해하고 있고

그런 개념의 범주 안에서 이야기를 이어갈 것입니다.


 

작품과 드라마 한장면 그리고 그에 대한 설명도 많이 나오는데

본인 작품에 대해 "세련되다" 고 자평을 한 걸 보면 작가의 애정과 작품에 대한 자부심이 무척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드라마 속 사임당과 이겸의 색이 화이트와 블랙인 이유, 배채법을 이용한 사임당의 미인도 제작과정 설명,

바로 이런, 드라마속 상황이나 장면설명이 드라마를 보지 않은 사람으로선 다가오지 않았다는게 읽는 내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런데 저 미닫이문, 정말 갖.고.싶.다~!)


부귀와 장수를 상징하는 <궁모란도병>은 대비와 중전을 위해서만 펼칠 수 있는 병풍으로,

백성 누구라도 평생 딱 두번 혼례와 초상때는 펼치는 것이 허락되었는데, 임금이 그 곁을 지켜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는 이야기나

<합죽선>에서 부채의 양쪽 겉 부분을 '변죽'이라 부르는데, 겉만 훑고 가다는 뜻의 '변죽만 울리고 간다'는 말이 여기에서 유래했으며,

50살 100접 부채는 왕과 왕비, 대비만이 소지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 상상하며 읽는 재미가 있는 춘화,

<어변성룡도>와 등용문에 관한 이야기 등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았다.

민화속 소재에 따른 명칭, 그 의미를 짚어줘서 민화를 아는 만큼 더 많이 읽을 수 있게 해주었다.


 



p. 159

민화는 보는 그림이 아니라 읽는 그림입니다.
그림에 담긴 이야기를 보는 이가 나름대로 읽어 내면 됩니다.
물론 그림의 도상이 상징하는 기본적인 정보를 이해하면 좋겠지만 알면 아는 만큼, 모르면 모르는 대로 읽어 내고 또 그것을 읽어서 자신만의 줄거리를 만들면 그만입니다.
민화는 우리의 삶 속으로 들어와 끊임없이 이야깃거리를 마들고 그 이야기에 시간이 더해져 우리의 역사가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향의 봄 파랑새 그림책 97
이원수 글, 김동성 그림 / 파랑새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 보다는 내 맘에 든 책이다
노래를 부르며 천천히 책장을 넘기기만 했다
내 고향은 서울, 노랫말 속 고향같은 느낌은 안나는 곳이다
그럼에도 노래불러주는데 뭔지 모를 울컥함이 올라온다
김동성의 그림때문이었을까?
이런 고향이었다면 정말 그립고도 남을것 같다
딱 이 계절, 봄에 봐도 좋고 봄이 그리운 계절에 봐도 좋고
김동성 그림은 늘 옳다
오늘밤 아이들 자장가는 ˝ 고향의 봄˝ 여러 버전 메들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붕 위 루시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22
김지연 글.그림 / 북극곰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과 그림 그리고 메세지까지 완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