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줄로 방귀 동이듯
모양이 없고 곧 날아가 버리는 방귀를 있으나 마나 할 만큼 약한 거미줄로 동여맨다는 것이니 실속 없는 허황한 일을 이름.

학교 다닐 적에 한 친구가 곧잘 “내가 옛날에 만주에서 개 타고 말 장사 할 때...” 하는 말로 우스갯소리를 했던 것이 생각난다. 거미줄로 방귀를 묶는다니, 만주에서 개 타고 말 장사 했다는 소리만큼이나 재미있다.

속담사전에서 보고 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플레져 2006-03-07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스키모에게 냉장고를 팔고, 아프리카에 보일러를 판다는
오랜 유행어도 재미나요 ^^

숨은아이 2006-03-07 14: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리카에 보일러 판단 말도 있네요? ㅋㅋ 근데 실제로 사막에서 난로를 팔고 에스키모에게 냉장고 팔았다던데요? ㅎㅎ

산사춘 2006-03-08 0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댓글을 보니... 저한테 귀걸이랑 목걸이, 반지 팔려고 했던 어떤 분이 생각납니다. 으호호호

숨은아이 2006-03-08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짐작하는 그분이 맞습니까? ㅎㅎㅎ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는 속담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개똥밭은 몹시 천한 곳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재미나는 우리말 도사리]에서 보니 땅이 건 밭, 곧 토질이 기름진 밭을 “개똥밭”이라고 한단다. 하하, 개똥밭이 천하기만 한 곳은 아니구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3-07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땅을 가꿀때 덩을 썼으니께^^;;;

플레져 2006-03-07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게 기름진 밭에 구르려했으니...ㅎㅎㅎ

마태우스 2006-03-07 1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담 만든 분이 잘 모르고 만든 거군요^^

숨은아이 2006-03-07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그렇지요. ㅎㅎ
플레져님/그러니까 이승이 나은가 봐요.
마태님/설마요. ^^ 개똥밭에 구른다는 게 죽어라 농사 짓는다는 뜻이겠지요. 기름진 밭에 짓는다 해도 농사란 게 힘들잖아요.
 

전에 남부 지방에서는 새 집을 지어 이사한 날 저녁에 마을 사람들과 일가붙이들을 불러다

큰 잔치를 베풀어 집들이를 했는데, 농악대가 합세하여 흥을 돋웠다고 한다.

마루나 마당에서 한바탕 농악을 치고 나서 상쇠가 덕담을 늘어놓기를

‘마루 구석도 네 구석, 방구석도 네 구석, 정지 구석도 네 구석,

삼사십이 열두 구석 좌우 잡신 맞아다 맞아들이세’ 했다고 한다.

다른 곳은 다 놔두고 구석에 먼저 관심을 나타내는 그 마음이 아름답게 느껴진다.

비록 귀신의 거처로서의 구석이라고 해도 말이다. 정지는 부엌이다.

 - [재미나는 우리말 도사리] 56쪽


구석에 먼저 관심 보이는 것도 그렇지만, 집안에 먼저 귀신을 “맞아들인다”는 것이 아름답게 느껴진다. 사람이 홀로 사는 게 아니라, 자연과 하늘의 기운을 맞아들여 같이 사는 풍습.

전에 듣기로 ‘농악’이란 말은 일본 학자들이 ‘농사꾼만의 음악’으로 한정지어 붙인 이름인데, 농악은 음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음악과 춤이 어우러진 ‘공동체 놀이’이므로 농악이라 하지 말고 ‘풍물’이라 하는 것이 좋단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릴케 현상 2006-03-07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젠가 풍물패사람들한테 들은듯^^

숨은아이 2006-03-08 0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풍물패한테서 들었어요. ^^
 

걱정 마라 부엉, 내일 모레가 장이다
“남의 일에 참견 말라는 뜻으로 하는 말”이라는데, 어째 이런 말이 생겼을까요?
유래가 궁금 궁금. ^^

걱정이 반찬이면 상발이 무너진다
“쓸데없이 걱정만 하고 식사도 제대로 하지 않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이랍니다.
인생사 걱정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 걱정을 다 밥상에 올려놓는다면 상다리가 부러질 거라는 말씀. 걱정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면 그냥 먹어치워 버리자구요.


속담사전을 보고 씁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ong 2006-03-03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궁금해요, 부엉은 또 무슨 뜻일까요? ^^

숨은아이 2006-03-03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엉이가 부엉 하는 소리겠지요? ^^

플레져 2006-03-03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숨은아이님, 속담사전 어떤거 쓰세요?
저 말 외워둘래요. 넘 재밌다...ㅎㅎ

숨은아이 2006-03-03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이미지가 안 뜨는데 이거여요, 플레져님. ^^ 이기문 선생이 일조각에서 펴낸 속담사전이요.
 

[재미나는 우리말 도사리]를 보니
마른 가지, 잔가지, 억새나 장작 등 갖가지 땔나무를 통틀어 나무새라고 한단다.

‘나무새’란 말을 보니 시어머니가 나물을 너무새라고 하시는 게 생각난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너무새는 남새(사람이 가꾸어 먹는 채소)의 방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나물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예문 : 봄을 맞아 뒷산에 나물을 캐러 간다)이기도 하고,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를 삶거나 볶거나 또는 날것으로 양념하여 무친 음식”(예문 : 나는 고기보다 나물이 더 좋아)을 뜻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나물은 남새와 거의 같은 뜻이지만 그보다는 좀 폭넓은 말로, 남새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푸새(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를 아우르는 말이라 하겠다.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남새와 푸새를 아우르는 다른 말로 푸성귀(사람이 가꾼 채소나 저절로 난 나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가 있다.

정리하면,

푸새(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 ↔ 남새(밭에서 가꾸는 채소)
먹을 수 있는 푸새 + 남새 = 푸성귀 ≒ 나물.

하지만 울 시어머니가 나물을 너무새라 하시듯이,
남새라는 말은 실생활에서 ‘나물’과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인다 하겠다.

지난 설에 시어머니께서 상을 차리면서 “정재에 너무새 좀 가져오너라(부엌에서 나물 무친 것 가져오너라).” 하셨을 때 무심코 “나물이요?”라고 대꾸했더니, 어머니께서 “응?” 하고 되물으신다. 아차 싶어 “너무새 가져오라구요?”라고 고쳐 말하자 “그래.” 하신다. 시부모님과 대화하는 일이 명절 때랑 생신 때, 고작 1년에 서너 번뿐이라서 어머니와 나의 언어 격차는 좀처럼 줄지 않는다.

재작년 봄까지 나는, 내가 어머니의 사투리를 잘 알아듣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재작년 시아버지 생신 때, 한창 탄핵 후폭풍이 불고 민주당이 탄핵에 가담해 지지율이 곤두박질칠 때였다. 시부모님이랑 같이 TV를 보는데 추미애가 광주에 와서 삼보일배하는 장면이 나왔다. 시어머니 말씀하시길, “저것은 자기 동네에서 안 나왔다냐? 나왔다고? 근디 왜 여기 왔다냐?” 하신다. 추미애도 서울에서 출마했는데, 왜 자기 지역구에서 선거운동을 하지 않고 광주에 와서 삼보일배를 하느냐고 물으신 것이다. 여기다 대고 나는 “자기 지역구도 있지만 민주당에게는 광주가 상징적인 곳이니까요.”라고 대답했다. 울 시어머니, 눈을 끔벅이며 나를 빤히 보셨다. 순간, 깨달았다. 상징적이니 하는 먹물 냄새 나는 말을 못 알아들으셨던 것이다. 나는 시어머니와 나 사이에 대화가 물 흐르듯 유연하지 못한 것은, 오로지 어머니의 사투리 때문이라고만 생각했다. 내가 하는 말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나는 어머니의 말을 잘 못 알아들으면서, 어머니는 내가 하는 말을 다 알아들으시리라고 생각하다니! 상대방의 말을 잘 ‘들으려’ 하는 것만큼이나,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써 내 생각을 잘 ‘말하려는’ 노력도 필요하구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3-03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가 너무 많아 본새도 남새, 품새로 생각했다니까... 티비보다가...

숨은아이 2006-03-03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고 보니 새가 너무 많네요. ^^

조선인 2006-03-03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시엄니를 생각하시는 갸륵한 마음에 추천.

숨은아이 2006-03-03 1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걱, 갸륵? ^^; 아무튼 추천은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