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의 유즈루, 저녁 하늘을 나는 학 요시키 형사 시리즈 2
시마다 소지 지음, 한희선 옮김 / 검은숲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형사요시키두번째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Q 해리 쿼버트 사건의 진실 1
조엘 디케르 지음, 윤진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명망있는 소설가 해리 쿼버트 그의 집에서 33년 사라진 소녀의 유골이 발견되고 해리는 범인으로 몰려 잡혀가는데 조용한 시골마을 오로라는 사건으로 주목받고 해리의 제자이자 촉망받는 소설가 마커스는 이 사건을 조사하게 되는데..

보통의 추리소설같지만 다른점은 이책의 소설가의 고정관념을 여러 모로 다양한 이야기로 파괴한다

보통의 생각하는 소설가의 이미지가 아닌 실제 소설가의 모습을 소설 전반에 걸쳐 이야기하므로 그동안 잘 묘사되지 않는 소설가의 일상 그리고 글짓기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첫소설의 성공으로 부와 명성을 얻지만 후속작에 대한 부담감으로 글을 쓰지 못하는 소설가의 모습 그리고 열다섯 어린 소녀와의 사랑을 통해 영감을 얻어 소설을 쓴 해리의 이야기

괴테가 어린 소녀에게 반해 사랑했지만 실연당하고 그슬픔으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라는 명작을 썻다는 이야기는 너무 유명하다 그 만큼 사랑이나 슬픔같은 감정이 소설가에게는 영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책에 등장하는 해리 역시 어린 소녀를 사랑하고 그 사랑으로 소설을 쓰는 파격을 실행하지만 그 소녀가 실종되고 33년이라는 긴시간이 지난 유골이 발견된 지금은 단지 그는 소아 성욕자에 지나지 않는다 세인의 눈에는 아무리 사랑이라 이야기하고 아름다운 이야기일지라도 단순한 눈으로 보면 소아성애자가 어린 소녀를 탐한 이야기에 지나지 않다 그런 상황에서 마커스를 세인의 관심과 증오를 받으면서 그이 스승을 위해 사건을 조사하면 예전에 벌어진 사건을 알게된다

스승의 무죄를 믿으면서 사건을 조사해가는 과정에서 목숨마져 위협당하지만 그는 과연 사건을 진상을 찾아낼수 있을지 2권으로 구성된 이책중 1권의 주요내용은 과거에 벌어진 사건의 전모로 양심있다 말하는인간들의 거짓된 모습 그리고 저마다의 숨겨진 사정으로 말하지 않았던 이야기가 드러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염유희 히메카와 레이코 형사 시리즈 5
혼다 테쓰야 지음, 한성례 옮김 / 씨엘북스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레이코가 등장 하지않는 외전 레이코의 천적 카스마타,하야마,쿠라타가 등장하는 그리고 저마다의 사건을 수사하지만 결국 마지막에 가서는 하나의 커다란 사건으로 통합되는 하나의 커다란 이야기

저마다의 정의를 가슴에 품고 사건을 향해 달려가는 형사들 저마다의 방법으로 사건을 수사한다

부패한 고위 관료에 대한 살인사건 그리고 그뒤에 감쳐진 인간군상들의 아픔 그리고 악의

범행을 실행하는 범인의 악인가 아니면 그뒤에서 범행을 실행하도록 조종하는 인간이 악인가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죄를 저지르고도 외면하고 오히려 부를 이르고 타인위에 군림하는 인간들의 잘못 그리고 그런 그들을 심판하는 범인  그리고 그범인을 부추기는 인물  현대인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간의 악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크리스틴 여사의 작품중 커튼이라는 책에서 그런 인물이 등장한다  자신의 손에는 피를 묻히지 않고 단지 타인의 나약한 마음을 이용 살의를 불러 이르켜 살인을 조장하는 결코 현행법으로 심판할수 없는 사악한 인물 과연 누구의 잘못인가 죄를 범한 인간의 아니면 범행을 저지른 아니면 부추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늑대와 향신료 17 - Extreme Novel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아야쿠라 쥬우 그림 / 학산문화사(라이트노벨)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로의 마지막 여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력할 땐 아리스토텔레스 땐 시리즈
다미앵 클레르제-귀르노 지음, 김정훈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은 욕망의 생물 어떤말로 치장한다해도  결국 자신의 욕망을 향해 걸어간다.

그 걸음끝에 실패히던가 성공하는 사람이 존재할수 있지만 결국 그본질은 욕망 그자체이다

하지만 그런 욕망앞에 좌절하던가 아니면 욕망을 추구하다 좌절하고 무력해지는 사람은 과연 어떻게

해야할까 무력해진 자신을 인정하고 그대로 무력하게 살아야하는 걸까 아니면 그 무력에 정면으로 맞서야 하는건가 옛날의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를 통해 무력감에 빠진 인간을 정면에서 바라본다 무력해진 상태에서 과연 마주하는 인간의 본질은 무엇일까 그리고 해결하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아무도 의지할수 없는 상태에서 과연 이책이 얼마나 도움일 될것인가 그리고 과거의 철학자의 의견이 과연 현대의 인간에게 도움이 될것인가 아무리 시대가 변해도 인간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고대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를 통해 만나보는 철학 여행 과연 그것은

단언컨데 철학은 인간의 가장 지적 활동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