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나온 《월간 잉여》16호에 「'평일 낮'이라는 감정문화」라는 이야길 써봤다.

'평일 낮'을 누린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 죄책감, 자기-과해석, 노동에 대한 시선 등 이런저런 것들의 소묘를 담았다.


아래는 내용 일부 














“인간이 느끼는 시간은 거짓이다. 그것은 시간 자체가 아니라 시간을 느끼는 우리의 느낌일 뿐이다.”

- 페르난두 페소아, 『불안의 서』


오늘날 시간만큼 잉여를 애잔한 존재로 만드는 것은 없으리라. 간혹 섬세한 잉여들은 자신에게 다가온 말들의 저의를 시간에 초점을 맞춰 짐작한다. ‘오후 세시’에 걸려온 전화, 가라앉은 목소리로 통화를 시작하면 “어……쉬고 있는데 미안해요” 같은 배려에는 ‘자고 있을 시간은 아닌데, 팔자 좋구나’ 같은 꿍꿍이가 있진 않을까란 의구심이 스며드는 것이다. 잉여가 될수록 시간은 점점 하나하나의 느낌으로 정리된다. 내게 다가올 (대부분 따가운) 반응이 예상되고 혼자만의 대화는 늘어간다. 행동은 정작 일어나지 않았는데 공상은 풍부해진다.


그렇다고 위에서 인용한『불안의 서』속 페소아의 시선 때문에 우리에게 24시간-표준시의 현실을 마련한 샌포드 플레밍의 노고를 간과하진 말자. 어찌 보면 시간이 하나의 느낌인 건 천차만별이었던 곳곳의 시時로 구성된 세계를 24개의 표준면 안에 집어넣길 원했던 그의 수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24개의 면 속에서 사람들은 각기 다른 행동을 벌인다. 그리고 이 때문에 서로의 행동을 관찰하며 행동한 나와 행동하지 않는 너, (더 노골적으로) 노동한 나와 노동하지 않는 너를 짐작해보기도 한다. 실은 플레밍의 노고 가운데 잉여에게 상처를 덜 주는 형태란 “지금 거기는 몇 시니? 잘 시간인가?” 하는 질문을 비교적 안정되게 해볼 수 있는 정도다. 내가 있는 나라와 당신이 있는 나라의 시차를 헤아려보는 것 안에서 잉여의 스트레스인 “이 시간에 넌 뭐 하니?”가 끼어들 경우는 그리 없기 때문이다.


수많은 이의 분석을 길게 언급하지 않더라도, 오늘날 잉여를 진하게 규정하는 특성인 ‘비-쓸모’를 둘러싼 시차는 직장이란 물리적·심리적 공간으로 인해 분명해진다. 이를 더욱 부추기는 시간은 바로 ‘평일 낮’일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쉰P 2014-07-17 1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김샥샥이 얼그레이효과님인가요? ㅎ
저도 월간 잉여에 한 편의 글을 기고한 적이 있습니다. ㅋㅋㅋㅋ
이미 썼던 글이긴 하지만 푸하하하
저도 월간 잉여 애독자입니다. ㅎ

얼그레이효과 2014-07-18 11:48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 루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