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밤 느즈막히 민들레 잡지가 도착했다.

참 , 사람이 자기가 하던 도적질은 못 숨긴다고.. 신문 조판 프로그램을 만들던 신랑은
잡지 보자마자 '편집'에 대해 한마디 한다.
글 하나하나 씩 각자 편집해서 그런지 폰트 크기, 자간 장평 말머리 글마다 제각각이다 ^^;;
그런거 보려고 산 책이 아니지만, 그런거만 보다보니 그게 눈에 먼저 들어온다.
그 판을 떠난지도 2년이 넘었구만.. 여전히 그런게 보이는건 어쩔수 없나보다.
프리젠테이션에 관심이 많은 나역시, 신랑의 말을 거들고 나섰다. 이건 폰트 10이고 이건 9고.. 이런 어쩌구어쩌구 해대면서. 잠시 가서 편집하는 것만 알바라도 하고 올까 하는 생각이 들었으나,
최근호에 올수록 좀 나았다. 적어도 폰트는 통일이 되었더라는.. 사이즈는 여전히 제각각이지만.

책이 그림이나 표이런게 하나두 없다. 그래프나 표가 없다는건 공대생에겐 치명적이다..
우우..
그래도 내용이 내용인지라. 책들 휘리리 넘겨가며 일단 눈에 들어오는 제목부터 몇개 읽었다.
대안교육을 오래 고민해 오신 분들이라 그런지
내가 여지껏 전혀 문제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문제제기
(예를 들면 대안학교 선생님들 연합회의 에서 ' 국기에 대한 경례' 로 시작하는.. 의식있는 선생님들에 의해 일선학교에서도 국기에 대한 경례를 없애는 분위기라고 한다. - 난 국기에 대한 경례 정도는 해도그만, 안해도 그만 인거라고 그렇게 생각하는데.. ㅡ,.ㅡ)

아이들을 키우는 사람들 이야기, 대안학교에 대한 이야기. 대안학교가 천국인것은 아니라는. 생각해 보면 그게 당연한건데 거기도 사람이 모이는 곳이고 사람이 부대끼는 곳인데 모든게 대안학교라는 한마디로 끝날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런 당연한 생각들도 다시금 접하고 있다.

덜컥 지른데다, 잡지는 얇팍한데다 노란종이 이지만
전혀 본전 생각이 나지 않는것은, 거기에 담겨있는 틀에 박히지 않은 생각들과 행동들 때문이다.
또 새로운 세상에 발을 들여놓은 느낌.
이 잡지가 쉬이 읽힐것 같지 않고, 또 그래서도 안되겠지만. 천천히 천천히 봐야겠다.
사실 울집에서 정기적으로 사는 잡지는 GQ 밖에 없었는데..GQ와 민들레 사이의 그 거리라니..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토토를 학교에 보내고 싶지 않다는.. 신랑의 지나가듯 한마디.
ㅡ.ㅡ;;;
난 그런 생각은 한번도 해본적없는데. 고등학교에서 대안학교 정도는 모.. 한번 생각해보는것도 나쁘지 않은정도?
그렇게 아무 생각이 없었다. 

신랑의 몇 가지 경험들 - 홈스쿨링하는 사람들에 대한 조사에 참여, 아는 아가가 유치원에 가면서 달라지기 시작한 행동들,비싼 사립국민학교에 들어가면서 더 달라지는 그런 모습들- 로 인해
제도 교육을 보내기가 싫다는 것이다.  흐음...
그 때의 내 반응은 '유치원도 안보낼거야? '   - 일단 유치원부터 시작하면,, 모 당연히 학교 가겠지 자기가 어떻게 버텨.. 남들 다 가는 것을
신랑왈 '유치원은 좀..생각해 봐야겠는걸.. '이라고 애매하게 그날은 그렇게 얘기가 끝났다.

내내 그게 생각이 난 참 이었는데.. 오늘 아침 우연히 프레시안에서 특집기사를 보게되었다.
그리고 홈 스쿨링을 하는 분이 쓰고 계시는 연재 기사도 읽게 되었고..민들레 잡지도 덜컼 주문해 버렸다.

산골 아이들이 잘 어울려 살 수 있을까? 기획기사 보기

이 분은 부모님 두분이 기본 내공이 있으셔서 겠지만. 그집 아이들도 너무 잘 컸다.
소소한 일이 없기야 하겠냐만은.  

이것 저것 찾아보고, 북마크에 등록도 하다가 지금 이런걸 생각하는게 맞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지금 당장 결론 내려야 할 문제는 아니더라도, 피해갈 수는 없는 문제이다.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킁..

당장은 오늘 저녘에 운동을 좀 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ceylontea 2005-06-08 19: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안교육도 홈스쿨링도 우리나라에선 쉽지 않은 이야기이죠.. 에효...

토토랑 2005-06-08 1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염..ㅡ.ㅡ;; 민들레 잡지 보고 좋은 정보 있음 책 빌려드릴께요 ^^

2005-06-09 03: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보물창고 2005-12-27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젤 쉬운게 학원과 과외.. T.T
 
 전출처 : 물만두 > 속독 테스트

얼마나 빨리 책을 읽으시는 지 알고 싶으시다면... 테스트를 해보세요.

http://www.superlearning.co.kr/html/ftest/test_intro2.asp



"" 회원님은 183초 동안 4767개의 문자를 읽어
분당 1563의 문자를 읽는 것으로 테스트되었습니다.

좀 빨리 읽는군요. 하지만 진짜 좋아하는 책 읽을때하고는 다르다는 게 차이점이겠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토토랑 2005-06-07 1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회원님은 100초 동안 4767개의 문자를 읽어
분당 2860의 문자를 읽는 것으로 테스트되었습니다 음..ㅡㅡ.

이거 분명히 읽은 글인데.. 그래서 휘리릭 넘어 가긴 했는데..
분명히 읽은 거는 맞는데.. 뭔지 전혀 기억이 안난다.. 노랑색 문고판인지. 흰색 하드카바 책이었는지 조차도.. 그저 읽었다는 기억만 남아있을뿐..
 

동생이 책 보고 싶다고 리스트를 죽 올려놨길래..
선물할려고 알라딘을 뒤적뒤적하니..4일후 준비 가능 ㅡ.ㅜ 이란다..
녀석의 생일은 3일 후 인데

할수 없이 교봉에 가서 샀다.
2권에.. 35000원..
돌아오는 길에.. 이걸 알라딘이나 교보에서 샀다면 할인에 적립금에
우어~~
할인 10% 에..마일리지 각 10%, 3%에 추가 2% , 그래24면 체크카드 추가적립 X,000원 

흑흑 ㅡ.ㅜ
좀 만 더 일찍 주문할걸..  
이번주 내내 책을 고르고 또 고르다가 왜 이제서야 그러는겐지 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살인의 진화심리학 - 조선 후기의 가족 살해와 배우자 살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모노그래프 3
최재천 외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동생의 추천으로 우연히 접하게 되었다.

우선 책 제목의 단어가 낯설다. 진화심리학. 진화하는데 심리학이 필요한가?
것도 살인? 살인의 역사적 사례들을 늘어 놓고 이렇게 끔찍하게 발견해 왔는다는 책인가? 
 진화는 적자생존에 의한 생물학적 선택의 결과 라는 식으로 배운거 같았는데 그게 심리와 무슨 상관일까나.

결론적으로 살인의 발달사 같은건 전혀 아니었다.
고대문명이 더이상 4대 문명만이 아닌 것 처럼..
인간의 심리적 기재들도, 진화에 의한 선택의 결과라고 하는게 진화심리학의 요점이라고 보여지고,
조선 후기 가족내 살인 이라는 사례를 가지고 진화심리학의 이론들을 설명한다.

진화 심리학에 대해 조금더 소개 하자면,
다양한 문화권, 시대의 차이를 뛰어넘어 존재하는 심리적 기재들이 있고,
이런 심리적 기재들이 바로 진화라고 하는 '선택'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서구권이건 우리나라건 배우자의 외도에 의한 태도를 조사해 보았을때,
남성들은 여성 배우자의 심리적 외도 보다는 육체적 외도를 심각하고 생각하고
여성들은 반대라는 것이다.
진화심리학에서는 이것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남성은 배우자의 배속에든 아이가 누구의 자손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자신의 배우자가 아이를 가졌는데, 그게 자기 씨인지 남의 씨인지 알수 없기 때문에
자신의 유전자를 물려받지 않은 아이에게 에너지를 낭비할 수 있기 때문에
배우자의 심리적 외도 보다는 육체적 외도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반대로 여성의 경우는, 남자가 밖에서 누군가를 생각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를 양육하고 생활을 영위하는데 사용되어야할 에너지가 낭비 될 가능성이 있어서 심리적 외도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인다고 한다.

책은 전체적으로 많이 어렵지 않다. 새로운 개념의 학문이라 약간 생소하긴 하지만 말이다.
전반부에서는 진화심리학의 이론들과 사례들을 다루고 있고
중반부 부터는 조선시대의 가족내 살인 사례들을 통해 진화심리학 이론들을 접목하고 있다.

유교 시대, 조선 시대의 가족내 살인이라는 것도 신기한 소재이지만,
그 사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들을 접할수 있어서 재밌었다.
그리 술술 넘어가는 책은 아니지만,  얇아서 더욱 부담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