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갑 - 우크라이나 민화 내 친구는 그림책
에우게니 M.라쵸프 그림, 배은경 옮김 / 한림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크라이나 민화'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장갑'이라는 소재도 그렇고 '민화'라는 데서 오는 독특함도 있을 것 같아 구입했으나 기대했던 것에는 못 미치는 느낌이었다. 이 책을 구입한 다른 독자들이 주로 칭찬을 거듭했으므로, 나는 서운한 점들을 주로 말하려 한다.

줄거리 자체는 흥미를 끌 만 하다. 눈이 쌓인 숲 속에 할아버지가 장갑 한 짝을 떨어뜨리자, 여러 동물들이 차례로 찾아와 그 장갑을 집으로 삼는다. 장갑 안으로 들어오는 동물들의 몸집이 점점 커지면서 처음에 그냥 보통 장갑이었던 그 장갑은 사다리도 생기도 창문도 생기며 굴뚝도, 현관도 생긴다. 그리고 비좁아지다 못해 나중에는 옆구리의 실밥이 터지기까지 한다.

나름대로 상황 설정의 재미도 있고, 장갑의 변화를 관찰하는 재미도 있고, 등장하는 동물들을 덩치나 특성 등으로 비교하는 재미도 있는데 내겐 이 동화책이 마음에 딱 감기지 않았다. 글쎄, 돌고도는 영화를 다시 보는 듯한 느낌이랄까. 동물들이 순차적으로 등장하여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과정이 너무도 익숙하게 느껴져 다 읽어보기도 전에 '아, 그거구나' 싶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동화의 '원형'과도 같아서였을까. 나는 이 책을 보고서야 우리집에 이렇게 동물들이 차례로 등장하는 그림책이 참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이야기 자체는 재미있지만 전체적으로 칙칙한 색감에, 페이지마다 장갑 색깔이나 바탕의 배경색이 묘하게 달라 시각적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배경색이 시간의 흐름을 짐작케 하기 위한 배려였다면 좀 더 일관성있는 흐름을 타고 변화되어야 했을 것이다. 특히 내겐 맨 마지막 장의 그림이 유독 거슬렸는데, 앞 장과 뒷 장의 변화가 아무런 설명없이 너무 컸기 때문이었다. 바로 그 전 페이지에서는 곰이 구부정하게 뒷집을 지고 선 채 장갑 속으로 들어가길 청하고 있는데, 바로 다음장은 숲 속에 장갑 한 짝이 떨어져 있는 처음 시작의 그림으로 돌아가 있다. 본문의 그 긴박하고 극적인 전환이 달랑 이 그림 한 장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이다.

'장갑은 금방이라도 터져버릴 것만 같았습니다. 그런데 숲속을 걸어가던 할아버지는 장갑 한 짝이 없어진 것을 알아차렸어요. 즉시 찾으러 되돌아왔습니다. 강아지가 먼저 뛰어갔습니다. 계속해서 뛰어가자 장갑이 떨어져 있었어요. 장갑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강아지는 '멍,멍,멍' 짖었어요. 모두 깜짝 놀라서 이 장갑에서 기어나와 숲 속 여기저기로 달아났어요. 할아버지가 다가와서 장갑을 주워갔습니다.' (본문 마지막 장)

이렇게 본문의 마지막 장을 몽땅 옮긴 것은, 이 글 아래 조그맣게 그려진 그림을 보면서 억울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앞의 여러 페이지들보다 훨씬 긴박하고 흥미로운 이 마지막 장의 이야기가 달랑(!) 이 썰렁한 그림 하나로 대치되고 있는 것이다. 그림책은 그림이 반, 글이 반이다. 그런 점에서 내가 보기에 이 책은 절반의 성공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