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와 그림책 - 그림책을 선택하는 바른 지혜 ㅣ 행복한 육아 15
마쯔이 다다시 / 샘터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림책이 어린이들에게 좋다는 것은 두 말 하면 잔소리다. 그걸 모르는 사람은, 특히 아이엄마는 없다. 책을 많이 못 읽어주어 죄책감을 가질지언정 그림책이 왜 필요한가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이들은 보지 못했다. 그러므로 바로 그런 이유에서, 즉 '좋긴 하다는데 왜 좋은가? 어떤 게 좋은가?'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으므로 이 책이야말로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겠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도 나는 그림책이 아이에게 가지는 영향력을 의심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읽어주는 것'이 왜 좋은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있었다. 내가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가 글을 읽지 못하기 때문에 대신 읽어주는 것일 뿐이었다. 아이들은 글을 깨우치게 되면 읽어달라지 않고 제 힘으로 읽게 된다. 나는 그것이 더 좋은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책에서 저자는 '귀로 듣는 언어체험'이 아이의 상상력을 키우는 열쇠라고 말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마음 속에 그리는 힘, 상상력이 자라는 풀밭이라고 말한다. 그저 '대타'로 그림책을 읽어주던 내게 이것은 새로운 깨달음이었다.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줄 때 흔히 느끼는 사실이듯이 아이는 엄마가 좋아하는 책을 같이 좋아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엄마들은 아무래도 자신이 재미있다고 느끼거나 좋다고 생각하는 그림책을 더 열심히, 감정을 이입시켜 읽어주게 되기 때문이다. 호소력 있는 표현에, 말에 강약이 들어가는 책을 아이들이 좋아할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나는 '어떤 책을 읽어주느냐보다 어떻게 읽어주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말을, 책장의 허전함을 지탱해주는 지렛대로 알고 지내왔다.
그런데 이제 그 한쪽 지렛대만 가지고는 버티기 힘들게 되었다. '어떤'에 꼬리가 잡혔기 때문이다. 어떤 그림책이 좋은 그림책인데? 사실 나는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이 책을 골랐다. 지금까지 내가 택한 방식(내 맘대로 좋은 그림책)이 올바른 것인지 확인할 필요도 있었고, 기왕 그림책을 고르는 거 검증된 안목을 통해 걸러진 책들을 만나보고 싶기도 했다. 그리고 지금, 책을 다 읽고 또 책에 소개된 그림책들을 몇 권 사서 읽어본 지금 내 평가는 '전체적으로 흡족하다'이다. 여기서 소개된 모든 책들이 다 만족스럽진 않으니 대만족은 아니지만, 내 맘에 차지 않는 몇몇 권은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잘 만들어진 좋은 그림책이라고 동의할 수 있었다.
엄마들이라면 누구나, 아주 매력적이지만 다소 막연하게 느껴지는 '그림책' 세상에 저절로 발을 내딛게 된다. 비록 자의에 의해서가 아닌 대부분이 아이에게 이끌려서지만. 그러나 얼마나 큰 행운인가. 처음엔 그렇게 이끌려서 왔다가 그 매력에 끌려 아이보다 더 탐독하게 되는 엄마들도 많다. 나도 그 엄마들 속에 끼고 싶어 기웃거리던 차에 이 책은 좋은, 그리고 유익한 이정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