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기 유령 스텔라 1 - 피올라 구출 대소동 보자기 유령 스텔라 1
운니 린델 지음, 손화수 옮김, 프레드릭 스카블란 그림 / 을파소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아이의 동화를 같이 읽는데도, 이 ‘보자기 유령 스텔라’를 읽으면서는 참으로 오랜만에 동화를 읽는 느낌이 들었다.  

현실에 갇혀있는 생활동화에서 빠져나와 유령을 앞세운 판타지 동화를 읽어서일까. 아님 ‘보자기 유령’이라는 이 캐릭터가 재미있고 참신해서일까.

책을 덮고 나니 집안에 있는 커텐과 보자기, 이불, 그밖에 천으로 만들어진 모든 것들이 우리가 안 보는 새 움직이고 돌아다니는 유령들로 보인다. 

“깡통 같으니라구!” 하고 중얼거리면서 이리저리 날아다니는 유령들...
(‘깡통’이란 책속 유령들만의 은어로 뭔가 이상한 것이나 새로운 것, 두려운 것을 뜻한다.)
책을 읽고 난 뒤, 나도 그 말에 전염되어 하루종일 무시로 중얼거렸다.
“이런 깡통 같은 일이 있나...”

동화 속에 등장해 현실에서 꿈꾸거나 말할 수 없는 것들을 대신 이야기해주는 유령이나 귀신, 도깨비 따위는 말만 다르다 뿐이지 다 엇비슷한 존재들이다. 딱딱하고 재미없는 현실세계 뒷면엔 말랑말랑하고 들쑥날쑥한 미지의 세계가 숨어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존재들. 우리는 그 존재들로 인해 융통성 없는 현실의 벽에 구멍을 뚫고 밖을 내다본다.
물론 그 구멍으로 무엇을 보았는지는 그때마다 다를 것이다.
재봉공장이 배경이 되는 ‘보자기 유령’에서는 현실에서는 비참하고 사랑받지 못하는 한 아이, 피네우스가 보자기 유령 스텔라의 단짝 친구가 되어 세계를 유람한다.
재봉공장 사장 아들인 피네우스와 보자기 유령 스텔라가 서로를 알아보고 그토록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동일한 슬픔을 지닌 그들이 서로에게 분신 같은 존재들이기 때문이었다. 부모도 없고 (피네우스에게는 아빠가 있지만 없는 것보다 못한 아빠다), 주위에서도 따돌림 받는 조그맣고 볼품없는 존재! 하지만 이들은 ‘굴하지 않는 정신과 강인한 의지, 그리고 기적에 대한 믿음’으로 하나하나 어려운 일들을 헤쳐 나간다. 

피네우스를 통해 유령이라는 실체 없는 것들은 존재감을 얻었고, 유령과의 모험을 통해 피네우스는 비참한 현실을 깨뜨려버릴 수 있는 힘을 얻었다. 
 

누추한 것이 어찌 항상 누추하기만 하랴. 현실세계 밖, 환상세계 속에서 누추하고 보잘것없던 것들은 영광스럽고 빛나는 것들로 변신한다. 사랑받지 못하는 것들은 늘 가장 사랑스러운 것들과 함께 있으니, 이것이 동화의 환상세계가 매력적인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1편 파올라 구출 대소동, 열 편의 시리즈 중에 겨우 한 편을 읽었을 뿐이지만 동화를 읽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었던 만족스런 판타지 여행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