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놀아준다는 것, 아이와 논다는 것

다른 엄마들도 비슷한 고민을 하겠지만 나 역시 아이와 놀면서 어떻게, 뭐하고 놀지가 늘 고민거리였다. 그러니 이 책을 발견했을 때 얼마나 반가웠겠는가. 재미있게 놀면서 가르치는 놀이방법을 가르쳐준다니! 

급한 마음에, 택배 아저씨에게서 책을 받아들자마자 앞장의 책소개와 프롤로그를 휘리릭 읽어내려갔다. 마음에 찔리는 말들이 눈에 들어온다. 


'훌륭한 메니저로서 자녀를 끌어가려고 하기 때문에 자녀가 잘 따라오지 못하면 우리 부모들은 자녀를 다그치고 화를 내고 실망하고 좌절하곤 합니다. 자녀가 미숙하게 행동하며 부모가 원하는 대로 잘 따라오지 못할 때, 그래서 자녀가 실망하고 어려움에 빠지게 될 때 우리 부모들은 함께 좌절하고 실망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자녀를 '도와줄 것인가'를 과학적으로 고민하며 마음을 다해 자녀와 '함께 해야' 합니다.' (본문 인용)   


요즘 특히 초등 저학년인 큰아이에게 많이 야단치고 잔소리하는 중이라, 이 대목을 읽자 아이에게 미안한 마음에 들었다. 아이가 학교 숙제도, 학습지 공부도 잘 했으면 싶고, 운동도 열심히 했으면 싶고, 돌쟁이인 동생도 잘 돌봐줬으면 싶고... 내가 생각해도 큰아이에게 원하는 것이 너무 많은 것이다. 원하는 것은 많은데 아이가 잘 따라주지 않으니 화를 내는 일이 다반사다. 아이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아이를 보지 못하고 내 욕심대로 아이를 움직이려 했으니 아이가 얼마나 힘들었겠는가...    

물론 <집중력을 높이는 유아놀이>라는 이 책은, 0세부터 초등학교 입학 전인 6,7세까지 재미있게 놀면서 익히고 배우는 놀이학습법을 제안해주고 있는 책이라, 초등 2학년인 우리집 큰아이에게는 맞지 않다. 나는 이 책을 큰아이보다는 돌쟁이인 둘째와 놀아주기 위해 신청하였고, 책을 읽어본 오늘 바로 놀아줄 놀이도 찜해놓았다. 

하지만 놀이만을 제시해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놀이가 필요한지, 부모로서 우리는 아이들과 놀아줄 때 어떤 자세를 취해야 되는지를 같이 설명하고 있어, 큰아이 작은 아이 할 것없이 아이를 대하는 내 자세를 점검하게 만든다. 


그럼 책장을 넘겨보자. 책은 6개의 part와 하나의 부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트 하나하나는 영유아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라 3-12개월, 12-24개월, 3-5세, 6-7세, 기타 집중력과 기억력을 발달시키는 인지놀이와 읽기-쓰기-셈하기 눙력을 발달시키는 인지놀이 등으로 세분되었다. 그리고 각 파트별로 소제목이 있고 그 소제목에 따른 유용한 놀이법을 제시해주고 있다.

아이와 놀이를 한다고 해도 왜 그 놀이가 좋은지, 그 놀이가 아이에겐 어떤 영향을 줄지 잘 알지 못하고 그저 놀아주기 위해 노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개월수에 따라 인지해야 할 특성들을 알려주고 그에 맞는 놀이법을 알려준다. 예를 들면 12-24개월에서는 '소근육의 발달은 일상생활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소제목으로 그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해준 뒤에 그에 따른 인지놀이(소근육을 발달시키는 책장 넘기기 놀이)를 소개해주는 식이다. 


이 책으로 나와 우리 아이들이 모든 걱정에서 놓여나는 것은 아니겠지만 여러모로 스트레스를 덜게 될 것은 확실하다. 큰아이는 '해야 할 일'만을 강조하는 엄마의 잔소리 스트레스에서 조금이라도 놓여날 것이고, "놀아줘, 놀아줘!" 하며 날마다 치마자락에 붙는 작은 녀석은 엄마의 노력으로 이제 조금 더 재미있어질 것이다.

아... 책을 뒤적거리며 엄마라는 이름은 정말 쉽지 않다는 것을 다시금 생각한다.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엄마 스스로가 커져가야 한다는 것이고, 그것은 아이를 보는 마음의 눈이 동시에 커져가야 한다는 것이기에 오늘도 엄마로서의 나를 스스로 반성하고 저울질하고 있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