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덧니가 보고 싶어
정세랑 지음 / 난다 / 2019년 11월
평점 :
2015년 1월에 정세랑의 <이만큼 가까이>를 읽고, 나는
“문학에, 소설판에도 그런 게 있다면 <호밀밭의 파수꾼>, <노르웨이의 숲>과 계급장 떼고 한 판 붙여보고 싶은 <이만큼 가까이>다.”
라고 메모한 적이 있다. 파주 근방을 무대로, 더 이상 젊지 않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젊은이들이 쓸쓸하며 따뜻했고, 멀고도 가까웠으며, 낡아 누추하면서 찬란했고, 그립지만 결코 돌아가고 싶지는 않은 장소를 깔끔하고 담백하게 묘사한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나, 이후 정세랑의 작품들이 연쇄적으로 출간되는 걸 알면서도 어찌하다 보니, 제을러서 언뜻 선택을 하지 않았었다.
이제 <덧니가 보고 싶어>를 읽었다. 여백이 많은 편집으로 220쪽의 짧은 소설. 다 읽으려면 반나절하고 조금 더, 이 정도면 충분하다. 나는 당연히 전에 읽었던 <이만큼 가까이>를 염두에 두고 책을 읽었고, 읽는 과정에 크게 실망했고, 다 읽고는 완전히 실망했으며, 이 책은 절대 책꽂이에 꽂히지 않을 것이고, 앞으로 정세랑이 쓴 책은 딱 한 권만 더 읽어보고 또 읽을지 말지를 결정하겠다고, 결심했다. 마침 사무실 내 앞자리에 지난주에 결혼한 스물여섯 살 덧니 난 직원이 있어서 보라고 줘버렸다.
이게 사랑 이야기라고? 나는 아무리 좋게 봐도 죽도 밥도 아니던데. 오히려 장르 소설로 보는 게 맞지 않은가 싶기도 하지만, 장르 소설이라기보다 한 발만 그쪽에 올려놓고 짝다리 짚은 형국이다.
정세랑의 언어유희 하나만 건지기 위해서라면 그렇게 하시라. 사서 읽으시라.
* 서사가 없다. 그래도 문장이 날아다닌다. 문장이라도 보고, 옛 정을 기억해서 별 하나, 아나, 여깄다, 더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