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주 편안한 죽음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11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강초롱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4월
평점 :
1908년에 태어나 일흔여덟 살에 죽은 시몬 드 보부아르가, 일흔여덟 살 드신 어머니를 잃은 건 1963년. 사르트르와의 계약결혼이 34년차에 들어섰을 때. 계약결혼이 1929년. 이 때 드 보부아르 가에선 시몬의 일을 두고 가문의 수치로 한 차례 난리가 났었다고 한다. 1960년대 초반에 일흔여덟 번째 생일을 한 달 정도 지나고 초상을 맞았다면 호상 아냐? 환갑만 되도 기생 불러다 장구치고 소리하고 잔치할 땐대. 근데, 십여 년 전에 개봉한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 송재호와 김수미가 손 꼭 잡고 동반자살해서 장사를 치룰 때 젊은 문상객이 문상하고 육개장 앞에 놓고 호상이야, 호상 하며 쐬주 한 잔 마시다가 이순재한테 “이 사람들아 뭐가 어쩌고 어째? 세상에 호상이 어딨어, 호상이.”하는 장면 기억하시나? 나는 그 영화에서 송지효라는 여배우를 처음 보고 참하구나, 라고 여긴 적 있었다. 물론 나중에 <쌍화점>에서 조인성하고 러브 씬 하는 걸 보고 워, 워 했지만.
왜 난데없이 로맨스그레이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언급하느냐 하면, “세상에 호상은 없다”, 이게 시몬 드 보부아르의 <아주 편안한 죽음>의 주제라서 그랬다. 시몬 드 보부아르는 1963년 10월 24일, 이 당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었던 국제연합의 날, 속칭 유엔 데이UN Day에 로마에 있는 미네르바 호텔방에 묵고 있었다가 오후 네 시에 어머니가 욕실에서 넘어져 대퇴부 경부골절이라는 중상을 입었다는 전화를 받는 것으로 시작한다. 혼자 살다가 대퇴부 골절을 당했으니 이걸 어쩌나. 욕실에서 전화기까지 온몸을 끌고 기어가는데 만 두 시간이 걸린 보부아르 여사는 급한 대로 친구 타르디외 부인에게 전화를 해서 119 불러 현관을 부수고 자기를 좀 구해달라고 연락을 한다. 딸만 둘 있는 보부아르 여사. 큰 딸 시몬은 로마에 행사차 가셨고, 작은 딸 푸페트는 결혼해서 알자스 지방에 살고 있으니 결국 친구에게 전화를 한 것. 그래 부시코 병원 응급실을 거쳐 B교수가 집도의로 있는 최고급 C병원으로 이송한다.
노인네들한테 가장 위험한 사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이 대퇴부 경부골절이다. 그럼 몇 달 동안 꼼짝없이 누워 있어야 하고 이 동안 많은 노인들이 시름시름 앓다가 삶을 놓아버린다. 그러나 보부아르 여사는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진단을 받는데, 대신 위암으로 추측할 수 있는 소화기 암 말기인 것이 발견된다. 수술을 하지 않으면 곧 죽고, 하면 한 달 정도의 삶을 더 살 수 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결정한 두 딸. 결정인지 의사의 드라이브에 창졸간에 결정한 것인지 잘 모르겠으나, 하여튼 수술을 했고, 어머니에게는 복막염 수술이라 거짓말로 알렸고, 진짜 복막염이라고 믿기로 결정한 어머니는 삶의 연속을 강력하게 꿈꾸다가, 죽음에 이르고, 초상을 치룰 때기까지의 과정을 적은 책이다.
독후감은 이 정도면 됐다. 난 부모의 하해와 같은 사랑과 하늘이 무너지는 죽음, 뭐 이런 거 가지고 지지고 볶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내년에 시몬 드 보부아르의 <레 맹다랭>을 읽을 예정이라 부담이 되지 않으면 눈에 띄는 대로 읽고 있다. 이 책은 그 일환이기도 하고, 믿고 사서 읽는 을유문화사의 신간이라 주저하지 않고 골라 읽었다. 그리고 결론을 내리기를, 내가 기대했던 딱 그 수준의 작품, 그 정도의 내용. 별점? 네 개. 다섯은 기대했던 정도를 능가해야 주는 거니까.
이렇게 독후감을 끝내려고 하니까 좀 섭섭하다. 그래서 내 어머니 정여사의 죽음의 침상에 대해 한 번 써보자. 너무 긴장하지 마시라. 부모의 사랑과 죽음 가지고 지지고 볶는 거 싫어하는 인간이니까 심각해질 이유가 없다. 그러니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면 되겠다.
2007년 음력 시월 열 사흗날. 정여사 입원해 계신 병원으로 문병을 갔다. 특별하게 아픈 곳은 없고 그냥 시름시름 온 몸에 기운이 없으시다 하시어 입원하신지 일주일 정도 된 것 같다. 그래 처자식은 다 집에 두고 나 혼자 둘러본다고 가 침대 옆 보호자 의자에 앉아 이러저런 얘기를 하고 있었다. 한 두어 시간 지났을 무렵 정여사의 아주 오랜 동무님 두 분이 문병을 오셨다. 종로구 경운동에서 같은 소학교, 중학교를 다니던 동무님들이셨다. 일흔 네 살의 여성 세 분이니 나이를 합치면 222세. 내 예비고사 수험번호가 222888, 망통. 정여사는 222888, 번호 보시고 나서 한참 후, 얘, 예비고사 망쳤을 거 같더라니까, 라고 본고사까지 치룬 다음에 얘기하셨다.
아침에 학교를 가면 집이 먼 순서대로 나서서 한 동무네 문 밖에서 ㅇㅇ아, 학교가자! 하고 외쳤다가 합세하고, 두 꼬마숙녀들이 정여사 집 앞에서 또 △△야, 학교가자! 해서 세 명이 서로 손 잡고 흔들면서 소학교 다닌 기억이 아직도, 무려 222세가 됐음에도 생생하단다.
전쟁이 끝나자마자 대학에 진학하는 바람에 같은 동네에 살았지만 자주는 만나지 못했다. 정여사는 여대 국문과에 가고, 한 분은 여대 가정과에 가고, 다른 한 분은 서울대로 가 산부인과 의사가 됐다. 정여사가 의사 선생한테 실실 눈웃음을 치시더니 하시는 말씀이,
“얘!”
연세가 일흔 넷인데 정말로 호칭이 “얘!”였다, “얘!”
또 피식 웃으면서, “아무것도 아냐.” 하다가 도저히 참지 못하겠다는 듯, “근데 정말.”
“그래 물어봐.” 의사 선생이 웃으면서 받았다.
“그게, 진짜 여자마다 아래 생긴 게 다 다르니?”
정여사는 평생 궁금해 하시던 걸 기어코 물어보았다. 의사 선생은
“얘는 별 걸 다 묻는다. 다 큰 아들 옆에 놓고.”
“쟤는 괜찮아. 알 거 다 아는 나이잖아.”
의사 선생은 잠시 묵묵부답. 정여사 싱긋 한 번 더 웃으시더니,
“곤란하면 얘기 안 해도 되고.”
“응.”
“응? 뭐가 응이야?”
“다 다르다고.”
“아, 그렇구나.”
조금 후 동무 두 분은 병원을 나섰고, 이후 어릴 적 동무들은 다시는 서로를 볼 수 없었다.
나도 화들짝. 불과 삼십 분 전까지만 해도 이제 자신에게 죽음의 손이 다가온 것을 직감하셨는지, 비록 눈물 한 방울 떨어뜨리지 않았지만, 하필이면 왜 이런 건 나한테 먼저 오느냐는 말이야, 라고 한탄하시던 정여사께서는 그게 그리도 궁금하셨나보다. 나도 곧 병원을 나섰고, 여사께선 그날 밤 갑작스레 혼수상태로 떨어지셔서 시월 보름날 새벽, 마지막 숨을 쉬셨다.
이 날이 내가 마지막으로 정여사와 이야기를 나눈 날이고 기억하는 어머니의 마지막 에피소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