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젊은이가 지나갔다
알랭 레몽 지음, 김화영 옮김 / 현대문학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내용에 앞서 이야기할건 교정교열이 엉망진창이란 점.
번역자가 과연 그 번역자가 맞나 싶을만큼 거칠고 오자도 많은 문장들.
그런것들이 책읽기를 상당히 거슬리게 한다.

한 젊은이의 지난 날에 대한 서술로 일관하는 내용 역시 딱히 주목할건 없었다.
후루룩 훑어내리는 요약본을 읽는 느낌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젊은이가 지나갔다
알랭 레몽 지음, 김화영 옮김 / 현대문학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내용에 앞서 이야기할건 교정교열이 엉망진창이란 점.
번역자가 과연 그 번역자가 맞나 싶을만큼 거칠고 오자도 많은 문장들.
그런것들이 책읽기를 상당히 거슬리게 한다.

한 젊은이의 지난 날에 대한 서술로 일관하는 내용 역시 딱히 주목할건 없었다.
후루룩 훑어내리는 요약본을 읽는 느낌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앨리스네 집 민음의 시 150
황성희 지음 / 민음사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행에 대한 바람이나 생각을 해 본적 있는 당신이라면 황성희의 이야기에
솔깃할 거다. 호명을 바라지도 호출을 원하지도 않은 채 무방비로 생산돼 나온
이 막막한 세계에 대한 거부를 생각한다면 이미 깨진 꿈의 조각들을 주우며
퇴행으로 발길을 돌리고 싶은 심정.

그렇게 돌아가기로 했다면, 돌아가고자 한다면 그 길엔 이름이 가지는 위엄
따위는 없다 「후레자식의 꿈」을 동경하는 후레자식의 떳떳함이 있을 뿐.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여자」가 기억 밖의 기억으로 내뱉는 시가 듬뿍한
곳이 여기 앨리스라고 하는 여자의 집이다. 한 집에 산다고 가족은 아니듯
그저 여자와 남자로 또는 그냥 사람으로 들어 있을 뿐

결국「살의의 나날」을 꿈꿔야 저 퇴행을 완성할 텐데 다시 기어들어갈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황정은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곤조곤 이야기하는 그녀의 소설, 또는 소설 속의 목소리, 아니면 황정은이라는 자연인
그 모두가 결국 하나이겠지만 그것을 읽어가는 일은 묵묵하다거나 담담하다거나 뭐 그런 느낌, 기분이다.

'이건 뭐야'하고 황당한 소리와 함께 책장을 덮을 사람도 있겠지만 비틀린 걸, 비틀렸다,는 표현은
뭔가 적절하지 않지만, 잠시 곰곰 들여다보면 뒤틀린 것도 아니다. 그런 식으로 생각할 수 있다면
황정은 식 이야기를 알아먹지 않나 싶다. 그렇다고 뭐 대단히 어려운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뻔해서 하나마나한 생각들이나 투명할만큼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일상을 그대로 복사하는 게
소설이라면 굳이 소설을 쓰거나 읽을 필요는 없다. 뻔한것도 '낯설게 하기'가 소설가들의 본업이다.
황정은이 그려내는 낯선 풍경들이 장쾌한 그랜드케년도 아니고 대기권 밖의 신비스런 장면도
아닌 입술 거스러미나 뜯고 있는 옆 사람 이야기인데 나는 그런 장면들에 탐닉하는 독자일 것이다.

물론 또래의 여러 작가들이 그렇고그런 일상에 대해 작품들을 쏟아내고 있지만 황정은 특유의 색깔이
강렬한 빨강이나 서늘한 청색은 아니지만 그녀에게 특유의 색깔은 이제 염색되지 않았나 조심스레 생각한다.
한없이 투명에 가까워지려는 이율배반적인 색도 색이듯이 C M Y K R G B같은 대표색이 아닌 파스텔
톤에 가깝다고 해야할까, 그것의 매력을 본다면 황정은의 애독자가 될 것 같다.

각 단편들에 대해서 왈가왈부하는 건 읽었거나 읽을 이의 몫이라 지껄이고 싶지는 않다.
어차피 관심이나 어떤 의무에서 읽어야 할 이들은 찾아 읽을테니 굳이 미주왈고주왈 떠든다는 건
무의미 하다. 사실 귀찮다.

「오뚝이와 지빠귀」에서 "왜"라고 되묻는 장면은 남겨본다.
자빠지는 건 의지와 상관 없이 닥쳐오듯 대부분 그런 일상에 파묻혀 살지 않나
그것에 대해 왜 라고 생각하는 순간 노말-보통 이라 할 일상의 허물어짐은 시작이다
다들 무너지지 않는 견고한 생활을 위해 동분서주 뭣 빠지게 뭣 나게 뛰어다니고들 있잖은가 말이다
누군가는 아무짝에도 소용없는 그 '왜'를 생각하겠지. 쓸쓸하고 비루하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빙벽
이노우에 야스시 지음, 김석희 옮김 / 마운틴북스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살다보면 그럴때가, 그런 느낌이 드는 때가 있지 않던가.
머릿속 생각으로는 이게 아닌데,라는 목소리가 분명한데 그 목소리를 객관화 시키는 나는
그 아닌 곳으로 뭔가에 이끌리듯 그 쪽으로 인생의 방향을 틀어버리는 경우. 내 의지이기도
하면서 의지라고 할 수는 없는.
그런걸 운명이라고 해야하나. 거기에서 한참 지나 그때를 생각하면, 아 그때, 하게 되는.

인간은 어느 시기가 되면 자신을 믿지 않게 된다. -94p

우오즈, 미나코, 고사카. 그들 인생의 한 순간에서 그 어쩌지 못하는 불가해한 끌림에 끌려간
순간들의 이야기 쯤 이라고 해두자. 넘어선 안되는 것을 더 넘고 싶어하는 게 인간의 속성이라면 
불행은 결국 인간에 내재하는 건가.

어쩌면 어느 쪽을 선택하더라도 불행하긴 마찬가지가 아닐까. 이를테면 판도라의 상자를
손에 쥔 인간이랄까. 열어서는 안된다는 걸 알고는 있지만 결국 열고 마는 게 인간이고 만약 열지 
않는다면 영원히 상자를 버리지 못한 채 갇혀버릴 것이다. 

문제는 자신을 억제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거 아니겠어? 자제할 수 있다면야 아무 문제도 없겠지.
하지만 꼭 자제해야 할 때 자제할 수 없는 게 인간이야. 사실 말이지 자기 자신이란 건 별로 믿을 수 
없는 존재라고.
-94p

고사카 역시 미나코와 안된다는 건 알고 있다.  
알고 있지만 포기하는 게 안되는 것. 그게 운명이라면.

"난 안 돼." -102p

























우오즈 역시 머리로는 미나코와 안된다고 생각했지만 가슴엔 알게 모르게 미나코가 와 있었다.
미나코는 어떤가. 그녀 또한 다를바 없었다.

그들의 관계는 산에서 일어난 사건과 함께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타며 전개된다.
두툼한 분량에 비해 빨리 잘 읽히는 건 행 간을 시원하게 편집한 영향도 있겠고
무엇보다 어떤 결과가 날 것이며 과연 짐작이 맞을것인가와 같은 호기심을
쫓아가게 만드는 작가의 솜씨 때문일 것이다.

1957년에 발표된 작품이기 때문에 현재의 감각이나 감성으로 읽어보면 조금은 아쉬운 부분
없지 않다. 개인적으로 일본 소설이 풍기는 감정코드가 영 맞지 않아 일본 소설은 잘 읽지
않는데 이 작품에서도 그런 느낌을 받는다. 일본인 특유의 가치관이랄까, 뭐 그런 것들.

몇 년째 책꽂이 한 켠을 차지하고 있던 작품을 별 생각없이 뽑아서 읽기 시작했는데
막힘없이 빠르게 읽었다. 딱 그 정도.
마흔 넘어 등단해서 많은 작품을 발표하고 성과를 인정받았다는 작가의 이력이 눈에 띈다.
표지 디자인이 참 맘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